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5G기반 선제적 위험대응을 위한 예측적 영상보안 핵심기술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4-0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구책임자 김건우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o CCTV 및 5G기반 모빌티리 영상을 분석하여 다양한 위험 발생을 범용적으로 인식, 대응하고 전조를 사전에 인지하여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5G기반 예측적 영상보안(Predictive Visual Security) 핵심기술 개발 - (총괄 목표) 5G 기반 모빌리티(차량, 드론, 웨어러블 등)에 탑재되어 기존 고정형 CCTV 모니터링 영역 밖의 열악한 환경 공간을 지속적으로 이동하며 5G 엣지단에서 다중 위험을 동시에 (범용)·즉각(초저지연) 식별, 대응하는 프라이버시 보장형 5G 엣지 범용지능 영상보안 핵심기술 개발 - (1세부 목표) 다중 위험상황을 동시에 즉각 감지·대응하고 사전에 예측·예방하는 프라이버시 보호형 5G 엣지 범용 영상 보안 핵심기술 개발 ◼ 전체 내용 o 주요 기능(또는 규격) - 현장의 동적 위험도 측정을 위한 다차원 인자 심층분석 기술 • 휴먼 위험인자 인식을 위한 와일드 영상 심층분석 기술 : 와일드 영상의 휴먼 위험인자 인식을 위한 신경망 모델 : 각 휴먼 위험인자별 학습을 위한 실증 DB 및 GT 구축 * 휴먼 위험인자: 휴먼 속성(Attribute)기반 위험(둔기·흉기, 종류별 모자, 마스크, 성별, 나이 등) + 상황(Circumstance) 기반 위험 • 특정인(전자감독대상자) 측위기반 위험 심층분석 기술 : 측위·다중영상 매핑을 통한 군중 속 특정인 비주얼 식별 기술 : 위험 시나리오 기반 피해자 신변 예방보호 기술 • 위험 시·공간정보 기반 심층 환경프로파일 자동 연계 기술 * 심층 환경프로파일: 기상정보, 소셜정보 등 - 위험 프로파일 및 생활정보 학습기반 예측분석 신경망 모델 • 과거 위험유형별 프로파일 학습 및 예측분석 신경망 모델 : 과거 위험유형별 실상활 학습을 위한 확장 DB 구축 및 학습 : 다차원 위험인자에 대한 예측분석 신경망 모델 • (감시)대상자의 생활정보 기반 실위험(True-Threat) 예측 신경망 모델 : (감시)대상자의 정상생활패턴 학습 및 실위험 필터링 모델 : (감시)대상자의 생활 위험스코어 기반 실위험 필터링 모델 • 개인 사생활 보호를 위한 민감정보 비식별 기술 - 첨단치안을 위한 위험 예측분석 시스템 및 서비스 개발 • U-Guard 시스템 연계형 위험 예측분석 시스템 및 상용 VMS 원격 연동 기술 • 위험 예방을 위한 선제적 대응 기술 및 응용 서비스 개발 • 지역·시간별 범죄 위험도 관제를 위한 Predictive Crime Map 개발 • 예외상황에 대비한 5G기반 QoS(Quality of Safety) 보장 기술 • 국내·외 표준화 추진 및 관련 기술 개발 - 공공수요자 주도형 첨단 사회안전 리빙랩 구축 및 시범운영 • 지자체 주도형 첨단치안 AI 사회안전 리빙랩 • 스마트시티 CCTV 통합관제시스템 연동 및 협업 기술 • 위치추적중앙관제센터(법무부) 주도형 능동형 AI 전자감독 리빙랩 • 리빙랩 기반 성능 시험 및 검증 체계 o 과제 수행체계 - 공공 수요자(법무부, 지자체 등), 제품/솔루션 제공 산업체, 연구계를 아우르는 범산업적 연구체계 구축 - 참여기관, 법무부(위치추적중앙관제센터), 지자체 중심으로 유관기관, 학회, 협회, 포럼 등을 포함하는 예측적 위험대응 협의체 구성 - 지자체 CCTV통합관제시스템, 지방경찰청 치안시스템, 법무부 위치추적중앙관제센터에 개발 결과물을 우선적으로 적용, 시험하고 성능을 검증한 후 업체에 기술 이전 - 연구결과물을 직접 사용하고 평가할 수요자인 법무부, 지자체, 경찰청이 R&D 연구결과물을 시민들에게 시범 적용하고 운용할 수 있는 지능형 사회안전 리빙랩 추진 - 주관기관의 Q-mark 인증 관리 프로세스 적용 및 SPICE Level 3 준용 : 품질완성도 및 고객만족도 제고를 위하여 검증을 통과한 연구결과물에 자체적으로 부여하는 Q-mark 품질인증제도 및 ISO/IEC 15504 표준 준수 □ 연구개발성과 o 연구 결과물 - 예측적 영상보안 신경망 기반 PCM 기반 관제시스템 - 능동적 AI 생활위험도 분석용 AI전자감독시스템 - 영상 전주기 보호를 위한 다채널 CCTV영상 암호시스템 - 실 위험 감시를 위한 산불·화재감시시스템 - 실 위험 감시를 위한 어린이보호 교통안전시스템 - 지능형 5G 모빌리티 단말 - 법무부, 지자체 실증 적용 및 서비스 제공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o (현장적용 방안) 개발단계부터 수요자(행정기관, 지자체, 경찰청, 통신사 등) 참여형 사업추진 체계 수립 및 현장 중심의 실증 환경 구축 - 사후 대처 중심의 치안시스템에서 사전 예방 중심의 차세대 첨단치안시스템으로 발전하기 위해서 지방경찰청, 지자체 CCTV통합관제센터 등에 적용 - 국토부, 행안부 등을 중심으로 구축중인 전국 스마트시티 사회안전플랫폼에 AI 브레인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기개발된 위험이벤트 탐지 기술 등과 통합 및 빌트-인 적용 - 법무부 위치추적중앙관제센터의 AI 전자감독시스템에 활용 o (실용화·제품화 방안) 범용적 위험에 실시간 자율대응하는 체계적이고 빈틈없는 사회안심 서비스와 OTA(Over-the-Air) 방식의 신경망 실시간 업데이트 프레임워크 구축 o (기술적 기대효과) AI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고 미국 등 선도국과 대등한 기술·산업 경쟁력 확보(‘22년 90%) - 우리나라의 AI 선도국(미국, 100%) 대비 2018년 기술 수준은 81.6%로 평가 o (경제적, 산업적 기대효과) 과기정통부 선정 5G+ 10대 핵심산업으로서, 새로운 킬러 서비스(Killer Service)로 새로운 사회안전 신산업 시장 창출 o (기대효과) 스마트시티를 중심으로 범죄로부터 안전한 사회 인프라 구축 및 범죄 예방 효과 및 이로 인한 사회적 비용 감소 기대 - (기술적 효과) 세대 지능형 사회안전 기술의 패러다임을 주도하고 글로벌 기술 경쟁력 제고 - (경제적·산업적 효과) City Surveillance에 AI기반 범죄 예측 기술을 융합함으로써 신성장 산업 육성 및 글로벌 초기 시장 점령 * 범죄 예방, 산출업무 효율화 등을 통해서 연간 212억원 예산 절감 효과 기대 - (사회적 효과) 범죄로부터 안전한 사회 인프라 구축을 통한 안전선진국 대열 합류 (출처 : 요약문 6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40000387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