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제 1장 개요 제 1절 연구개발(지원) 목표 ☐ 환경에너지 소재 및 공정 수요기반 생산기술 실용화 사업 ∎ 고에너지 수소저장물질 소재 기술개발 ◦ 용매 혼합비율 및 산소희박 조건을 이용한 불순물(LiCl) 90% 이상 제거 효율 확보 - 공급시약 내 미량의 금속, 유기계 불순물 분리/정제 공정 수립 - 산화반응에 따른 발화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산소희박 반응장치 개발 ◦ 다형질(polymorphic) 고에너지 alane 추출공정 개발 - 출발물질 및 반응용매의 혼합비율에 따른 수소화합물 합성 - 물질의 물리적 특성(boiling point, solubility)을 고려한 반용매 물질 선정 및 단계별 온도변화에 따른 alane 화합물 특성 관찰 - 제조, 정제가능한 LiAlH 4 수용액에 대한 고찰 및 반응용매 혼합비율에 따른 최종 화합물 특성비교 ∎ 실내 공기질 제어용 ACF 소재 기술개발 ◦ Nano-ACF 흡착제의 흡착 선택도 최대화 방법 개발 - 외부비표면적 증대를 통한 활성화 효율 향상으로 분자량이 작은 기체상 오염물질의 제어를 위해 초미세공 비율 90% 이상 확보 - 활성화 후 ACF 표면에 질소관능기(Nitrogen functionality) 비율 10% 이상 확보 - 이산화탄소 흡착능 평가 시 저농도(3000 ppm)에서 고농도(100%) 흡착능 대비 30% 이상의 흡착 선택도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제조된 흡착제의 등온흡착연구 및 탈착실험을 통한 흡착 메커니즘 규명. - 악취성 VOC (IPA 300 ppm) 흡착포집능 산정 시험연구 (표면산화) ∎ 철성분 함유 미세먼지 포집용 자성필터 공정 기술개발 ◦ 1차 처리 또는 보조 장치로 적합한 새로운 Filtration system 개발 - 이론적으로 가장 포집 효율이 낮은 0.1 ~ 1 um 영역의 입자를 추가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저정압 자성여과필터 개발. - 최종처리 장치와의 비교를 위하여 포집효율과 압력강하를 동시에 고려하는 Filter quality 식을 도입하여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Filter들과 비교. - 실제 산업공정에서의 적용성을 판단하기 위해 실제 배출되는 분진입자들을 포집하여 물리 화학적 특성을 비교분석하고, lab-시험장치에 적용하여 자성여과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함. ∎ 유해휘발성 유기화합물질 분해용 공기분자이온 발생공정 기술개발 ◦ 교류형 상온 저전압 유전체 막에서 형성되는 공기분자이온 발생량 최적화를 위한 기술 확보 - 교류전원, 상온, 3 kV 이하의 유전체를 통하여 발생하는 전자의 공기분자 이온화 메카니즘 해석 - 유전체 운전조건(전압/전류, 주파수~120 Hz) 및 유량/유속에 따른 공기분자이온 생성 특성 규명 - 음이온/양이온량 대비 오존생성량 관계 도출 - 유해화학물질 (용매상 톨루엔, IPA)의 분해 및 제거효율 시험 (50~300 ppm) ☐ 천연·재생가능 자원활용 고분자 소재 수요기반 생산기술 실용화 사업 ∎ 화장품 용기용 친환경 고분자 소재 및 공정 기술개발 ◦ 친환경 및 고기능성 고분자 소재 개발 - 목분, 대나무, 케나프 등의 천연섬유 소재를 첨가하여 생붕괴성을 갖는 소재개발함 특히 천연섬유 최소 5%이상의 함량을 투입을 목표로 진행함 - 천연섬유와 고분자 소재간의 상용성 증대를 위한 상용화제 등을 선정 또는 개발하여 상분리를 원천적으로 봉쇄하고 천연섬유의 잇점을 확보함 - 화장품이 담겨진 용기가 생산지에서 소비자에게까지 전달되는 과정에서 용기내의 수분 및 첨가물 등의 수분 투과특성을 기존소재대비 5% 이상 감소시킬 수 있도록 용기 설계 및 제작 - 기존 소재대비하여 10% 이상의 굴곡강성을 갖도록 설계하며 치수안정성을 확보 - 아울러 용기내의 화장품이 충진되어있을 경우, 장시간 보관시 용기와 개발 소재간의 반응이 일어나지 않아야 하며 이에 대한 내 화학성 시험을 통해 물성을 확보함. ∎ 분체도료용 친환경 고분자 소재 중합 기술개발 ◦ 바이오매스에서 유래한 퓨란계 화합물과 락톤계 단량체를 활용한 분체도료용 폴리에스터 중합기술 개발 - 후보 락톤의 개환반응에 필요한 촉매 선정 및 개환반응에 필요한 조건 탐색 - 퓨란계 유기산과 락톤과의 반응을 통합 중합 제어 연구 진행 (수평균 분자량 2,000g/mol 확보) (출처 : 본문 제 1장 개요 6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