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북극권 동토 관측 거점을 활용한 환경변화 감시와 예측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8-0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구책임자 이방용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세부과제 1) ○ 동토 기후·대기 시스템 변화 지속 감시 및 환경인자 DB 구축(16건 자료 확보 완료-메타데이터 형식으로 KPDC에 등록 완료) ○ 아이슬란드 관측 거점 확보 및 기후냉각물질 형성 과정 연구(한-아 북극공동연구 협약(LOU) 체결) ○ 동결-융해 환경변화에 따른 풍화과정 추적 기술 개발 ○ 러시아 관측 거점 확보 및 온실기체 플럭스 측정 시스템 구축(한-러 북극공동연구 협약(MOU) 체결) ※ 북극이사회(Arctic Council) 8개 국가중 6개 국가에 동토층 환경변화 연구를 위한 관측 거점 확보, 정밀측정시스템 가동 중(북극이사회 옵서버 국가로서의 북극권 글로벌 이슈에 대한 국제적 활동에 동참, 의무 과학활동 수행 중 (위탁과제-광주과기원-1) ■ 1단계 (2016.10 – 2017.12) 기간 동안 Ny-Alesund, Zeppelin station에서 북극권 나노입자의 크기분포 및 수농도 변화 실시간 모니터링 수행 (국제 연구팀과 공동 모니터링 수행). ■ Gruvebadet station에서 2016, 2017년 9월 북극권 에어로졸 화학원소 분석을 위한 PM2.5 샘플 확보 (위탁과제-광주과기원-2) ◦극지 대기환경 특성을 고려한 대기질 모델링 시스템 구축 - 극지환경 기상모델링 시스템 구축 및 성능 검증 - 극지 대기질 모델링 시스템 구축 및 최적화/구동 (위탁과제-경인여대) 본 연구는 물리화학적 연속 관측 및 원격측정 자료를 활용한 환북극 대기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및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모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단계에서는 북극 대기에어로졸 측정자료 확보 및 원격측정자료 분석를 통하여 북극 대기에어로졸 광학적 특성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고, 2단계에는 환북극 지역의 기후변화특성을 인공위성 원격자료 및 측정자료 기반 복사강제력 모사등을 통해 산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환북극지역 CCN과 DMPS등의 측정을 통한 북극지역 에어로졸 추의 분석결과 봄철 장거리 수송에 의하여 증가된 에어로졸의 농도가 CCN의 생성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여름철 CCN의 moderate한 증가의 경우 여름철 nano size의 입자개수의 폭발적 증가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AOD등의 질량을 고려한 지표에는 파악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CCN과 AOD의 계절별 상관성을 파악하고 이를 다른 지역과 비교하여 환북극권 지역 CCN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위탁과제-서울대학교) 지구 온난화 의해 극지 툰드라 지역의 탄소와 물 플럭스의 시공간 패탠을 이해하기위해 원격탐사 영상 기반 생물리기작 모형 Breathing Earth System Simulator (BESS)의 입력 자료 구축: ○ MODIS 대기 및 육지 자료를 서버에 다운로드 (MOD04_L2 일단위 에어로졸 (dark target and deep blue combined aerosol optical depth at 500m) 데이터, MOD6_L2 구름 (cloud optical thickness, cloud top pressure, cloud top temperature, surface pressure and surface temperature) 데이터, MOD/MYD07_L2 (total column precipitable water vapor and total ozone burden, atmospheric profile) 데이터, MOD11A1 일단위 토지 표면 온도 (land surface temperature) 데이터, MCD12Q1 토지 피복 타입 데이터, MOD15A2 8일 간의 엽면적지수 (LAI) 데이터 그리고 MCD43D61 알베도 데이터) ○ 구름이나 센서 의해 데이터 gap을 MERRA 재분석 자료로 gap filling 하여 전처리 수행 ○ 광합성 최적화 이론을 이용하여 시공간으로 변하는 Vcmax 지도 제작 완료 ○ 극지역 재방문빈도가 높은 극궤도위성의 특성을 활용해 극지역의 가능한 모든 swath자료 다운로드 및 전처리 완료 (위탁과제-인천대학교) ∘ 수용체 모형을 환북극 지역의 환북극 육상(동토), 해빙 환경변수와 접목하여 기후냉각물질(에어로졸 및 전구물질)의 발생 기원 및 이동경로 연구 수행 ∘ 식생지수, 해빙농도, 해양 엽록소 및 DMSP 같은 위성기반 환경 인자와 나노입자 수농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 ∘ 나노입자 수농도를 구간으로 나누어 평균과 중간값을 분석하였을 때, 환경인자와 나노입자 간에 상관관계가 발견되었지만, 육상지역인 히티알라, 제플린에서 지역적 차이를 보였고, 나노입자의 크기 분포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였음. ∘ 제플린 지역의 북부 및 유럽 지역에서 이동해온 대기의 나노입자 농도가 높았음. 3-10nm의 입자의 경우에 해빙농도와 비례, 생물생산력 인자(육상의 식생지수, 해양의 엽록소 농도)과 반비례하는 경향 보임. 10-100nm의 입자의 경우에 생물생산력 인자와 비례관계를 보임. (위탁과제-고려대학교) ▪ 알래스카 카운슬에 위치한 습윤한 툰드라에서 자동 챔버 시스템을 이용하여 여름동안 이산화탄소 플럭스와 이를 조절하는 환경인자들을 동시에 모니터링 하였음 ▪ 관목, 초본, 이끼류, 지의류 등 다양한 식생에서 관측된 이산화탄소 플럭스는 다양한 범위를 보였고, 일반적으로 토양 온도에 의하여 조절되었음 ▪ 캐나다 캠브리지에서는 이산화탄소뿐만 아니라 메탄 관측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연속 모니터링을 시도하였음 (위탁과제-한양대학교) ICT 융복합 기술을 활용하여 극지역 기후변화를 원격으로 관측하기 위한 기술개발로서, 적절한 계측 센서의 선정과 실시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여 극지역의 접근이 어려운 관측지에서 운영하는 것을 목표로 함. 극지역 기후 변화를 원격으로 관측하기 위한 ICT 핵심 요소 기술 개발 및 신뢰성 검증과 네트워크 핵심기술, 환경센서인터페이스 기술, 데이터관리기술, 시스템 통합운영기술을 개발하여 극지 관측사이트에서 운영 중에 있음. 극지 환경에서 운영 가능한 1)WPAN/WAN 통신모듈, 2)IoT 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극지 환경 원격 모니터링 기술 확보, 3)지중온도센서, 지중수분함량센서, CO2센서, 침하율계 등 환경센서 통합운영 기술 개발. (출처 : 보고서 요약서 5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00000673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