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1.분석자 서문 리보솜은 여러 개의 단백질과 핵산으로 구성된 복잡한 분자 기구로, 그 생합성은 가장 복잡한 생물학적 과정 중 하나이다. 리보솜은 mRNA에 포함된 정보를 기능성 단백질로 번역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진화를 거치면서 핵심 구조는 강력하게 보전되었지만, 고등 진핵생물의 리보솜은 고해상도 구조 해석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구조가 가장 복잡하다. 리보솜 생합성의 과다활성화는 암의 발병과 진행에 중요하다. 이 같은 사실은 리보솜 생합성을 억제하는 약물이 암 치료를 위한 실행 가능한 치료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기대를 불러일으키며, 실제로 최근의 연구 결과들에 의해 증명되고 있다. 리보솜 생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돌연변이와 암 위험 증가에 대한 인과관계가 지난 10년 동안 확립되었지만, 대부분의 자발적인 암의 발달과 진행에 있어서, 리보솜 생합성 장애에 대한 더욱 광범위한 역할들을 암시하는 결과가 계속해서 등장하고 있다. 리보솜단백질(ribosomal proteins, RPs) 또는 리보솜 조립인자(assembly factor)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돌연변이와 리보솜병증(ribosomopathies)에서 유래된 암 사이의 인과관계에 대한 강력한 증거들이 있다. 암 발병 기전에서 리보솜의 중요성 연구에는 리보솜 생합성과 다른 세포 과정 사이의 연관성뿐만 아니라 리보솜의 구조적 및 기능적에 대한 지식의 통합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최근 몇 년간 이 분야에서 발견되어 축적된 내용에 대해 요약하고, 다음의 중요한 질문들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리보솜이 발암을 증가시키는 세포 내 분자 메커니즘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 지식을 어떻게 치료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다루었다. 이를 통해 암과 관련된 리보솜 생합성의 분자적 기반에 대한 지식과 새로운 표적 암 치료법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2. 목차 1.서론 2.리보솜과 번역조절장애 3.리보솜 생성, 리보솜단백질, 리보솜 RNA 변형의 결함과 리보솜 기능장애 3.1. 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리보솜병증 3.2. 암에서의 리보솜단백질 결함 3.3. 리보솜 RNA 결함 3.4. 리보솜 결함에 따른 종양발생 가능성의 이해 4. 리보솜 타깃의 암 치료 전략 5. 미래 전망 6. 결론 지난 10년간 리보솜의 변화가 궁극적으로 암 발병 기전을 유발할 수 있는 번역 변화를 초래한다는 것을 입증했다. 또 리보솜병증의 선천적인 리보솜 변이와 다양한 암의 체세포 리보솜 변이 등 새로운 발견들은 종양발생에 있어 리보솜의 관련성에 대한 이해도를 크게 증가시켰다. 여기에서는 리보솜이 암 유발 위험 증가에 관여하는 메커니즘들을 나열하였다. 그리고 발암 인자에 의한 리보솜의 조절 및 불규칙한 번역 제어와 리보솜 구성요소의 돌연변이에 따른 영향에 대해 기술하였다. 앞으로의 연구에서, 종양발생을 매개하는 리보솜의 변화가 단순히 일반적인 증식 반응을 반영하는 것인지 또는 종양발생을 유도하는 기능을 나타내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리보솜 프로파일링과 같은 새로운 기술은 리보솜의 특성이 암의 번역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또 세포 내 리보솜단백질과 리보솜 이질성의 역할에 대한 활발한 연구는 ldquo;발암성 리보솜 rdquo;에 대한 새로운 증거들을 내놓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임상적으로 중요한 ldquo;발암성 리보솜 rdquo;에 대한 저해제의 개발과 치료적으로 유망한 목표들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들은 리보솜 생합성의 억제가 암 치료를 위한 충분한 잠재성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References 1. Sulima SO, Hofman IJF, Keersmaecker KD, Dinman JD. How Ribosomes Translate Cancer. Cancer Discov. 2017;7(10);1069-87. 2. Pelletier J, Thomas G, Volarevic S. Ribosome biogenesis in cancer: new players and therapeutic avenues. Nature Rev. 2018;18;51-63. 3. Bhat M, Robichaud N, Hulea L, Sonenberg N, Pelletier J, Topisirovic I. Targeting the translation machinery in cancer. Nature Rev. 2015;14;261-278. ※ 이 자료의 분석은 포스텍의 김은아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