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 목표 달성도 ☞ 작물의 분광반사특성 측정 및 분석 (20%), 기상자료 분석 및 일사량 추정 모델 개발 (20%), MODIS NDVI 추출 및 보정 (20%), NDVI와 수확량 상관성 분석 (20%), RS와 ANN기법을 이용 수확량 예측모형 개발 (20%) ; 합계 100%. 연구기간인 3개년 동안 계획한 연구 목표를 100%이상 달성 ○ 연구 성과 요약 ☞ 1. 연구개발 결과의 우수성 및 창의성 : 원격탐사기법을 활용한 논벼 수확량 예측은 기후변화가 농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식량안보를 위한 기후변화 대응방안 마련을 위하여 중요함. 연구결과는 기후변화 등의 영향에 따른 벼의 생산량을 예측하는 것으로 물가 예측과 생활안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미리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얻어진 연구 결과는 국가 정책 활용에 매우 유용한 연구로 인정받아 2015년 농림축산식품부장관표창(2015.7.15) 및 KBS 뉴스광장, 뉴스 7, 뉴스 12 (2015. 7.29~30)등으로 연구 결과의 우수성과 창의성을 높게 평가 받음. ☞ 2. 연구개발 결과의 파급 효과 : NH농협재해보험,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통계청 등 자연재해 및 직불금 보조금 지급 등의 기초 자료인 재배면적, 쌀 생산량 파악 등 실무에 접목할 수 있는 기술로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됨. ☞ 3. 연구개발 결과에 대한 활용 가능성 : NH농협재해보험,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통계청 등 자연재해 및 직불금 보조금 지급 등의 실무에 접목할 수 있는 기술로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음. ☞ 4. 연구개발 수행 노력의 성실도 : 연구과제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 2001년부터 2015년까지 기상자료, 통계자료, 위성자료, 토지피복도 등 방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DB화함. 또한, 기초자료 축적을 위해 현장 측정은 5월부터 9월까지 주 1회씩 실시하여 자료를 축척해 옴. 인력양성은 박사 1명, 석사 3명,학사 5명을 배출하여 관련 분야에서 관련 연구 활동을 수행중임 ☞ 5. 공개 발표된 연구 개발 성과(논문, 지식재산권, 발표회 개최 등) ○ A new approach to estimat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olar radiation using topographic factor and sunshine duration in South Korea, 2015, Energy Conservation and Management 101, 30-39. SCIE등재 학술지, IF. 4.380 (2014, 최상위 2~3%이내). ○ 추풍령의 일사량과 대기투과율의 상관관계 분석, 2014, 농업과학연구 41(2), 149-155. 한국연구재단등재후보지 ○ 지형조건에 따른 제주도의 일사량 분포 추정, 2013,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5(1), 39-48.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 학술지 6편 : 대전지역의 기상관측 데이터를 이용한 일사량 추정 모델 개발, 농업과학연구 2014, Terra MODIS 위성영상과의 비교를 통한 COMS GOCI 위성영상의 식생지수 적용성 평가,한국농공학회논문집 2014, 일 최저, 최고기온을 이용한 일사량 추정, 한국관개배수 2013, 대관령의 일조시간을 이용한 월별 일사량의 추정, 농업과학연구 2013, Evaluation of surface heat flux based on satellite remote sensing and field measurement data, IEEE IGARSE 2012, Daily global solar radiation estimate in the South Korea based on geostationary satellite remote sensing, IEEE IGARSE 2012 ○ 국제학술대회 8편(INSODE 2편(터키, 2013), SPIE 4편(교토, 2012), ICEECA 1편(홍콩, 2014), ICID 1편) ○ 국내학술대회 21편(한국농공학회 9편, 한국원격탐사학회 6편, 한국수자원학회 5편, KCID 1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