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하수처리 과정에서 새로운 오염물질의 발생과 거동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8-04-25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이인규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분석자 서문 항생제, 의약물질, 개인위생용품, 호르몬, 인공감미료와 같은 화학물질은 수중생태계와 인간에게 부작용을 유발하거나 유발할 가능성 때문에 새로운 종류의 수질오염물질(emerging contaminants; ECs)로 인식되고 있다. 본 분석에서는 하수 유입수, 유출수, 슬러지, biosolids에 존재하는 60개 ECs의 분석 데이터를 수집하여 지역별(유럽, 북미, 아시아) 농도를 비교하였다. ECs 농도는 지역적인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대부분의 항생제는 무영향농도와 유사하거나 초과하여 수중생태계와 인간에게 위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분석에서는 또한 하수처리 과정에서 ECs의 제거 메커니즘을 검토하였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국내에서도 호르몬, 의약물질 등의 ECs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지만 데이터는 연구자들에게 공개되고 있지 않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 수립이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수계에 존재하는 ECs의 대응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현재 실시하고 있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공개하고 관련분야의 연구자들과 함께 하수와 정수처리 과정에서 이들 물질의 거동과 처리방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2. 목차 1. 개요 2. 하수에서 ECs 농도 2.1. 항생제 2.2. 항균제 2.3.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2.4. 지질조절제 2.5. Beta-blockers 2.6. 항우울증 치료제 2.7. 에스트로겐 2.8. X-ray 조영제 2.9. UV filter 2.10. 인공감미료 2.11. 다른 종류의 ECs 3. 슬러지와 biosolids에서 ECs 4. 하수처리 시 ECs의 거동 4.1. 하수처리장에서 ECs의 거동 4.2. ECs의 흡착과 제어인자 4.3. 생분해와 제어인자 5. 향후 전망 6. 분석자 결론 국내에서도 수중에 미량으로 존재하는 다양한 수질오염물질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모니터링 데이터를 공개하고 있지 않아 이에 대한 현황 파악이 어려운 상태이다. 따라서 모니터링 데이터를 공개하고 관련 연구자들을 참여시켜 이에 대한 현황과 대책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약물질과 같은 수질오염물질은 미량으로도 수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물질은 수계로 배출되는 양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의약물질의 주된 배출원인 하수처리장에서 ECs를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한 처리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ECs는 본문에서도 언급되었지만 생분해와 흡착을 통해 제거가 가능하다. 하지만 미량이라도 수중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인 처리를 위해서는 고도산화와 분리막 기술의 적용을 검토해야 한다. References 1. Ngoc Han Tran, Martin Reinhard, Karina Yew-Hoong Gin, OCCURRENCE AND FATE OF EMERGING CONTAMINANTS IN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FROM DIFFERENT GEOGRAPHICAL REGIONS-A REVIEW, Water Research, vol. 133, 2018. 2. Edward T. Furlong, Angela L. Batt, Susan T, Glassmeyer, Mary C. Noriega, Dana W. Kolpin, Heath Mash, Kathleen M. Schenck, NATIONALWIDE RECONNAISSANCE OF CONTAMINANTS OF EMERGING CONCERN IN SOURCE AND TREATED DRINKING WATERS OF THE UNITED STATES: PHARMACEUTICAL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579, 2017. 3. Christopher Harman, Ian John Allan, Etienne L. M. Vermeirssen, CALIBRATION AND USE OF THE POLAR ORGANIC CHEMICAL INTEGRATIVE SAMPLER-A CRITICAL REVIEW,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ry, vol. 31, 2012. 4. M. E. Casaa, R. K. Chhetri, G. Ooi, K. M. Hansen, K. Litty, M. Christensson, C. Kragelund, H. R. Anderson, K. Bester, BIODEGRADATION OF PHARMACEUTICALS IN HOSPITAL WASTEWATER BY STAGED MOVING BED BIOFILM REACTORS (MBBR), Water Research, vol. 83, 2015. ※ 이 자료의 분석은 서울시립대학교의 이인규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093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