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북극해 기후 변동이 중위도 지역 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극지-중위도 원격상관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 현재 기후모형의 극지-증위도 원격상관 모의 능력을 검증하고, 극지 정보를 활용한 중위도 기후 예측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겨울철 중위도 기온과 북극해 기온변동과의 관련성 분석 - 카라, 바렌츠 해의 기온 변동과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의 기온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제시하였음. 즉, 북극의 기온변동이 중위도 기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제시 - 극지 기온변동은 그 지역 고기압성 흐름을 발달시키고, 시베리아 고기압의 강화를 유도함. 상층에서는 로비스비파 전파에 의해 동아시아 지역 몬순 기압골을 서쪽으로 이동시킴으로서, 동아시아 지역 기온 하강의 호조건을 유지시켜줌을 밝혀냈음. - 극지의 기온변동을 정량화하기위한 ART1 (ARctic Temperature Index)를 제시하였고, ART1이 양일 때, 동아시아 지역 한파의 발생 빈도가 커지고, 강도도 강해짐을 제시하였음. - 이러한 관련성은 월별 변동 뿐만 아니라, 계절 규모, 10년 주기에서도 잘 나타남. 최근 동아시아 겨울철의 기온 상승 약화는 일부 극지 변동에 의한 결과임을 제시하였음. - 북극으로부터 원격순환이 동아시아로 잘 전파되기 위해서는 극지지역 온도의 연직구조가 매우 중요함을 제시함. 북극의 표층 온도 상승이 중층까지 확장될 때, 원격상관 패턴이 잘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 북극 기온의 중위도 영향 분석이 CMIP5 기후 모형에서도 분석됨. 대부분의 기후 모형이 이러한 관련성을 잘 모의하고 있으며, 원격상관 패턴과 관측과 매우 유사하게 모의하고 있었음. - 하지만, 대부분의 기후모형이 관측에 비해서는 원격상관의 강도를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타내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음. -CM2.1 해양-대기-해빙접합 모형을 이용하여, 북극 온도 상승 실험을 수행하였음. 이상화된 실험 결과 북극기온이 동아시아 지역 기온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음.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 중위도 기후영향을 미치는 기후 인자들 간의 역학 과정을 제시하여 계절 예측률 향상에 활용될것으로 판단됨 - 기후 변화에 동반되는 대기 변동성에 대한 역학적 이해로 모형 개선에 활용 - 기후변화로 인해 증가되는 기상재해에 대한 국가/산업경제, 국민생활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기여 - 최근의 추운 겨울에 대한 메커니즘 제시로 대국민 홍보로 활용되었음. - 관련 내용의 Nature Geoscience 출판으로 다수 국내외 언론에 보도되었고, 많은 관심을 받았음. - 국제 외교부장관 회의에서 북극관련 국내 전문가 연구로 소개되기도 하였음. (출처 : 한글요약문 5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