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① 양식 대상 종 선정 ∘ 양식 대상 종은 경제적 가치가 높거나 Integrated Multi-Trophic Aquaculture 연구에 많이 적용된 종을 위주로 선정하였다. Undaria pinatifida, Saccharina japonica, Pyropia yezoensis, Grateloupia elliptica와 Gracilariopsis chorda는 식품이나 여러 가지 원재료로 사용되며, Ulva intestinalis, U. pertusa와 Codium fragile는 영양염 흡수율이 높아 시스템을 안정화시킬 수 있어 선정되었다. ② 주요 종의 영양염 흡수율 조사 ∘ 해조 8종에 대한 NH4+ 흡수율에 대한 실험 결과, U. pertusa, U. intestinalis와 C. fragile는 높은 흡수율과 반포화상수(Km)를 보였으며, 이는 저농도에서 빠르게 반응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Un. pinatifida와 S. japonica는 낮은 흡수율과 반포화상수를 보였으며, 이는 높은 NH4+ 농도에서 반응이 주로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P. yezoensis, G. chorda와 Gr. elliptica는 흡수율은 중간이었으며, 비교적 낮은 NH4+ 농도에서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③ 주요 종의 광합성 특성, 광합성 색소, 영양염 제거능력과 엽체 내 영양염 함량 ∘ 영양염 제거능력 실험에서 모든 해조 종은 10도와 17도에서 가장 높은 영양염 제거율을 보였으나, S. japonica와 P. yezoensis는 25도에서 영양염을 흡수하지 못했다. ∘ Undaria pinatifida의 엽체 내 질소 함량은 모든 수온조건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G. chorda의 엽체 내 질소 함량은 10도에서 증가, 17도와 25도에서 변화가 없었다. 이외 다른 해조 종의 엽체 내 질소 함량은 감소 또는 변화가 없었다. ∘ Saccharina japonica의 △F/Fm'와 rETRmax는 10도와 25도에서 감소, 17도에서 유의한 값의 변화가 보였다. 이것은 이 종의 최적 양식온도는 17도라는 것을 의미한다. G. chorda도 S. japonica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나, U. pertusa 어느 수온에서도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U. pertusa는 계절에 상관없이 IMTA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Ulva pertusa의 광합성 색소는 모든 수온 조건에서 7일 후 증가하였으나, 다른 종의 광합성 색소는 모든 조건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④ 예비 기준표 작성 및 종 선택 모델 적용 ∘ 예비 기준표에서 PSASI I는 주로 해조의 경제적 가치, 양식 및 IMTA 시스템에 적용된 사례를 중심으로 만들어졌고, PSASI II는 해조의 가장 기본적인 능력인 영양염 흡수율을 기준으로 정해졌다. 또한, PSASI에서 선택된 해조 종의 다양한 생리적 자료를 토대로 index를 작성하였다. ∘ 해조의 생리적 자료를 PSASI와 SASI index에 의해서 점수를 매긴 결과, 10도에서 P. yezoensis, 17도에서 U. pertusa 그리고 25도에서는 U. intestinalis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장에서 해조 종의 생존 모습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⑤ 중규모 수조에서 해조 종 선택 모델 적용 ∘ 중규모 수조에서 P. yezoensis의 최적 양식 생육 밀도는 5 g FW L-1이었으며, 광합성 특성 결과는 이 종이 고농도의 영양염 환경에서 건강하게 유지되고 있었음을 암시한다. ∘ 해조 종 선택 모델에서 얻은 결과를 기준으로 동일 속에서 종을 선택하여 중규모의 어류-해조 복합양식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U. pertusa는 TAN, 대형 갈조류 2종(Ecklonia stolonifera, S. japonica)은 ToxN을 주로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⑥ 양식장 규모의 환경 수용 능력 평가를 하기 위해서 STELLA program을 이용한 Box model 제시 ∘ 어류에 의한 배출 고농도의 영양염을 처리하기 위해 해조류의 양식 규모를 산정하는 모델을 작성하였으며, 이 모델을 통해 어류와 해조 양식의 적정 규모를 산정할 수 있었다. (출처: 연구결과 요약문 3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