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Ⅰ. 연구개요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 '03년 국내 최초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이후 3번의 추가발생 ❍ '14년 1월 국내 오리농장에서 H5N8형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 - 야생조류 폐사체에서도 H5N8형 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가 분리됨 - '14년에는 가창오리의 집단폐사가 있어 야생조류에 의한 유입이 의심됨 - '14년 H5N8형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중국에서 유행했던 것이 확인됨 ❍ '14년도의 발생양상을 고려할 때 지속적인 야생조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이 요구됨 2. 연구목적 ❍ 야생조류 분변에 대한 AIV 분석 및 종동정을 통한 야생조류에서의 AI 발생 조기검색 및 모니터링 실시 ❍ 야생조류 포획 및 스왑·혈액 검사를 통한 야생조류의 과거 및 현재의 AI 감염실태 조사 ❍ 야생조류 포획을 통한 국내 서식 겨울철새 및 여름철새의 이동생태 조사 Ⅱ. 연구내용 및 범위 1. 야생조류 분변 및 혈액시료 채취 ❍ 겨울철새 도래지역에서 10,000개 분변시료 채집 및 야생동물구조센터에 구조된 철새 1,000개체 혈액시료 수집 2. 야생조류의 포획을 이용한 연구 ❍ 야생조류 1,000개체를 포획하여 스왑 및 혈액 채취 후 이중 건강한 개체 30수를 선발하여 위치추적기 30대를 부착하여 겨울 철새의 이동 생태 파악 3. 채취 시료에서의 AIV 분리 및 항체가 분석 ❍ 분변 및 스왑 시료에서의 AIV 정밀 분석 및 종감별 ❍ 혈액 시료에서 AIV 혈중 항체가 분석 4. 구조된 야생조류를 이용한 연구 ❍ 야생동물구조센터에 구조된 철새 1,000개체의 혈액 시료에서 AIV 혈중 항체가 분석 5. 무인 관찰 카메라 설치 ❍ AI 발생 농장에 무인 관찰 카메라 설치 후 야생조류의 유입 여부 관찰 Ⅲ. 주요 연구결과 1. 야생조류 분변에서의 AI 바이러스 분석결과 ❍ 총 분변시료 10,050개 접수되었으며 이 중 풀링시료 45개 (0.44%)에서 양성 ❍ 지역별로는 전북 지역에서의 양성율이 가장 높음 (1.79%) ❍ 시기별로는 '15.1월에서의 양성율이 가장 높음 (0.99%) ❍ 풀링 시료 11개에서 H5 검출 (0.11%) 2. H5 양성인 분변 시료에서의 종동정 결과 ❍ 총 11개의 H5 풀링 시료 중 18수의 종동정 확인됨 ❍ 청동오리 9수, 큰 기러기, 원앙, 흰빰검둥오리, 고방오리, 알락오리, 혹부리 오리 확인됨 3. 구조된 야생조류의 혈액, 분변, 스왑 및 조직 시료에서의 AI 바이러스 분석 결과 ❍ H5 type HI 검사에서 30개체(5.0%)의 혈액에서 항체가 양성으로 판정 ❍ AI multi-s ELISA 검사에서는 15개체(2.5%)의 혈액에서 항체가 양성으로 판정 ❍ 분변시료 460개, 구강 스왑시료 278개 접수되었으며, 이 중 AI 바이러스 검출 안됨 ❍ 조직 28개의 PCR 검사 결과 이 중 AI 바이러스 검출 안됨. 4. 포획 야생조류의 1,070개의 스왑시료 중 5개체에서 AI 바이러스 검출 ❍ '15.1 아산시에서 포획한 쇠오리 1개체에서 HPAI (H5N8) 검출 5. 포획 야생조류의 혈액시료에서는 AI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검출 ❍ H5 type HI 검사에서 36개체(3.4%)의 혈액에서 항체가 양성으로 판정 ❍ AI multi-s ELISA 검사에서는 472개체(44.1%)의 혈액에서 항체가 양성으로 판정 ❍ 오리류(52.7%) > 갈매기류 (42.0%) > 기러기류 (35.0%) > 백로류 (0.0%) 6. 위치 추적기 (WT-200) 이용한 겨울철새 이동생태 조사 완료 ❍ 큰기러기, 쇠기러기, 청둥오리 30개체에 위치 추적기 부착 ❍ 이동 특성 분석 프로그램 기술 이전 완료 7. 무인 카메라 설치 결과 ❍ 기존 AI 발생 농장에서 야생동물의 유입 여부를 관찰한 결과 진천 농장에서 까치의 움직임이 관찰됨 IV. 종합 결과 1. 야생 조류 분변에서의 AI 바이러스 분석 결과 ❍야생 조류의 분변에서의 AI 바이러스 양성 검출율 : 0.44% 2. 구조된 야생조류의 혈액, 분변, 스왑 및 조직 시료에서의 AI 바이러스 분석 결과 ❍항체양성율은 5.0% (H5), 바이러스 검출안됨 4. 포획 야생조류의 혈액시료 및 스왑 시료에서의 AI 바이러스 분석 결과 ❍ 항체 양성율 44.1%, H5 양성율 3.4%, AI 바이러스 양성율 0.46% 5. 위치 추적기 (WT-200) 이용한 겨울철새 이동생태 조사 ❍ 큰기러기, 쇠기러기, 청둥오리 30개체에 국내 월동 지역 및 국내 월동 후 국외 이동 지역 확인 (중국) 6. 연구 추진 애로 사항 ❍ 야생 조류 포획의 불확실성으로 인한 발육란 과다확보 및 시험비 추가지출 ❍ 구조 센터 혈액시료 수의 계획대비 물량 부족과 기타 시료로의 대체로 인한 예산초과 ❍ 분변 수집 시 안전사고 가능성 및 기상상태에 따른 시료 채취 계획 준수 어려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