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도시생태계 통합 유지·관리기술 개발을 통해 도시생태계 내 개발과 보전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지속가능한 도시생태계 조성 및 관리의 선순환 구조 구축 ○ 전체 내용 □ 상세목표 1: 도시생태계 서비스(건강성) 통합평가·관리지표 개발 □ 상세목표 2: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기술 통합 적용 최적 설계기술 개발 □ 상세목표 3: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기술 비용-편익 분석모형 개발 □ 상세목표 4: 도시생태계 통합 관리시스템 개발 □ 상세목표 5: 도시생태계 통합관리 체계 및 국토·도시계획 연동 구조화 ○ 1차년도 (2020) □ 목표 개념정립, 분석체계 수립, 통합관리DB 구출 □ 내용 □ 상세목표 1: 도시생태계 서비스(건강성) 통합평가·관리지표 개발 • 도시생태계 통합 평가·관리지표 추출 • 예비 통합지표 선정 □ 상세목표 2: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기술 통합 적용 최적 설계기술 개발 • 도시생태계 통합지표간 상호관계 Framework 구성 □ 상세목표 3: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기술 비용-편익 분석모형 개발 •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관련 비용-편익 분석 •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관련 경제성평가 분석체계 수립 □ 상세목표 4: 도시생태계 통합 관리시스템 개발 • 전체 과제의 수집·축적 Data 분류 및 통합(통합관리 DB) • 시스템 주요기능 요구사항 분석 및 UI 구성 • 호환성 고려 시스템에 적용할 OGC 표준 도출 □ 상세목표 5: 도시생태계 통합관리 체계 및 국토·도시계획 연동 구조화 • 국토·도시공간 유형 및 특성 분석 •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관련 현행 국토·도시계획 법·제도 분석 ○ 2차년도 (2021) □ 목표 분석모형 및 시스템 개발 □ 내용 □ 상세목표 1: 도시생태계 서비스(건강성) 통합평가·관리지표 개발 • 본 통합지표 선정 • 지표별 분석기준·함수 추출 • 세부개발기술 적용을 위한 도시생태계 변화예측 미시 규모 시나리오 수립 □상세목표 2: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기술 통합 적용 최적 설계기술 개발 • 도시생태계 통합지표간 상호관계 분석 • 세부개발기술 통합적용·최적화(Ⅰ) □ 상세목표 3: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기술 비용-편익 분석모형 개발 • 도시공간 유형·특성별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비용-편익 분석(시장재 고려) □ 상세목표 4: 도시생태계 통합 관리시스템 개발 • 전체 과제의 수집·축적 Data 분류 및 통합(통합관리 DB) • 도시생태계 종합설계 및 관리 최적화 기능 구현 • 시각화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 상세목표 5: 도시생태계 통합관리 체계 및 국토·도시계획 연동 구조화 • 국토·도시계획 의사결정구조 분석 • 관리기술 적용범위 분석 및 최적화 • 국토·도시계획 연동 도시생태계 통합관리체계 구조화 ○ 3차년도 (2022) □ 목표 시스템 적용 및 고도화, 가이드라인 작성 □ 내용 □ 상세목표 1: 도시생태계 서비스(건강성) 통합평가·관리지표 개발 • 세부개발기술 적용을 위한 도시생태계 변화예측 거시 규모 시나리오 수립 • 통합지표간 가중치 분석 및 선정 □ 상세목표 2: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기술 통합 적용 최적 설계기술 개발 • 세부개발기술 통합적용·최적화(II) • 도시생태계 기능 향상을 위한 공간 조성 및 관리 가이드라인 □ 상세목표 3: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기술 비용-편익 분석모형 개발 • 도시공간 유형·특성별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비용-편익 분석(비시장재 포함) • 비용-편익 민감도 분석 및 핵심파라미터 도출 •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비용-편익 분석모형 확정 □ 상세목표 4: 도시생태계 통합 관리시스템 개발 • 전체 과제의 수집·축적 Data 분류 및 통합(통합관리 DB) • 도시생태 환경정보 시스템 개발 • Virtual 서울, 수원시 도시정보시스템 적용·운용 • 시스템 고도화 □ 상세목표 5: 도시생태계 통합관리 체계 및 국토·도시계획 연동 구조화 • 국토·도시계획 연동 도시생태계 통합관리체계 가이드라인 작성 목표 분석모형 및 시스템 개발 ○ 해당연도 (2차년도) □ 목표 분석모형 및 시스템 개발 □ 내용 □ 상세목표 1: 도시생태계 서비스(건강성) 통합평가·관리지표 개발 (pp. 41-76) • 본 통합지표 선정 및 지표별 분석기준·함수 추출 • 세부개발기술 적용을 위한 도시생태계 변화예측 미시 규모 시나리오 수립 □상세목표 2: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기술 통합 적용 최적 설계기술 개발 (pp. 77-105) • 도시생태계 통합지표간 상호관계 분석 • 세부개발기술 통합적용·최적화(Ⅰ) □ 상세목표 3: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기술 비용-편익 분석모형 개발 (pp. 106-125) • 도시공간 유형·특성별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비용-편익 분석(시장재 고려) □ 상세목표 4: 도시생태계 통합 관리시스템 개발 (pp. 126-152) • 전체 과제의 수집·축적 Data 분류 및 통합(통합관리 DB) • 도시생태계 종합설계 및 관리 최적화 기능 구현 • 시각화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 상세목표 5: 도시생태계 통합관리 체계 및 국토·도시계획 연동 구조화 (pp. 153-173) • 국토·도시계획 의사결정구조 분석 • 관리기술 적용범위 분석 및 최적화 • 국토·도시계획 연동 도시생태계 통합관리체계 구조화 □ 연구개발성과 • 최종 성과물 1: 도시생태계 공간 조성 및 관리 가이드라인(기법) • 최종 성과물 2: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기술 비용-편익 분석모형(기법) • 최종 성과물 3: 도시생태 환경정보시스템(소프트웨어)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 활용방안 > ○ 도시생태환경정보 시스템 S/W 환경부, 환경영향평가 민간기업(전략영향평가, 환경영향평가) 국토교통부, 지자체(도시기본계획 및 도시관리계획 수립) 건설 관련 공기업 및 민간 기업(공기업 및 민간기업, 연구원의 도시계획 관련 업무) 환경, 도시, 건축, 조경 등 관련 학과(도시 생태계서비스 관련 교육 및 연구) ○ 도시생태계 기능향상을 위한 맞춤형 공간 조성 및 관리 가이드라인 기법/가이드 라인 환경부, 국토교통부, 산림청(생태도시계획 제도 보완‧정립) 지자체(도시기본계획 및 도시관리계획 수립) 민간건설기업, 엔지니어링 기업(도시기본계획 및 도시관리계획 수립) ○ 도시 생태계 건강성 증진 기술 비용-편익 분석모형 기법 지자체(도시기본계획, 도시관리계획, 지구단위계획 등 심의‧허가 사전 검증) 환경부, 지자체(생태복원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평가) 생태복원 관련 민간기업(생태복원 대안의 경제성 평가) < 기대효과 > □ 환경적 측면 • 국토·도시 공간 전반의 도시생태계 건강성 제고 가능 • 도시생태계 건강성 관련 핵심파라미터 기반 체계적 환경관리 가능 □ 기술적 측면 • 복잡한 도시생태계 서비스의 상호관계 규명을 통한 공간계획 최적화 가능 • 도시생태계 건강성 비용-편익 분석 및 기술 확산 □ 사회·경제적 측면 • 도시생태계 통합관리 정책 수립의 과학적 도구로 활용 • 국토-환경계획 연동 기반 효과적 국토·도시계획 수립 가능 • 도시생태계 관련 정책 효율성 및 실효성 제고 □ 정책·제도적 측면 • 도시생태계 건강성 관리를 통한 도시민 삶의 질 향상 • 환경적으로 부적합한 사업을 사전에 예측·평가함으로써 사회적비용 절감 가능 • 환경산업, ICT산업 등 관련 일자리 창출 및 산업 발전 (출처 :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