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최종목표 북한 광물자원의 공동개발을 위한 기술적 기반 확보 □ 개발내용 및 결과 부존자원 평가 ▪ 3차원 광산지질 분석 및 오차범위 ±30% 내외의 광물자원 매장량 모델링 기술 개발 - 광상 대상 3차원 지질모델링 및 광체모델링 기술 구축 - 광역 북한 자원 잠재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수준의 DB 구축 탐사 예측도 ▪ 현재보다 2배 이상 높은 비철금속 시추 탐사 성공률*을 확보하기 위한 탐사 기술 개발(*현재 2∼3% 수준) - 스마트 광상 탐사 기술 개발 및 현장탐사 - 항공 전자탐사 및 원격 탐사 기술 구축 - 복합 탐사 자료의 융복합 기술 개발 자원개발 경제성 ▪ 최적 채광개발 기술 구축 - 광산의 특성에 따른 광산 경제적 가치평가 기술구축 - 북한광산 현대화에 적합한 지하광산의 최적 보안기술 개발 - Test-bed 광산을 대상으로 개발된 광산개발기술을 적용한 보안 기술 설계 및 경제적 평가기술 개발 자원활용성 ▪ 북한 철광석, 복합 금속광의 선광 및 정보화 기술 ▪ 북한산 광물로부터 회수율 90% 이상, 순도 99.8%이상의 희유금속(REE/Mg) 제조 기술 자원소재화 ▪ 북한산 비철금속 원료소재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제련-정제-합금화·형상화 통합 기반기술 개발 (소재특성 50% 이상 향상) □ 기대효과 과학·기술 ▪ 북한 광물자원의 탐사-채광-선광-제련-소재화로 연계되는 융합형 기반기술 확보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 ▪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선도형 핵심기술 확보 국가·사회 ▪ 남북간 광물자원 기술협력 기반 구축을 통한 남북과학기술 교류 및 경협 촉진 ▪ 희유소재산업의 새로운 먹거리를 창출하여 지속 성장 가능한 발전 토대 마련 ▪ 북한광물 공급으로 안정적이고 자주적인 자원 확보 및 국가 미래 경쟁력 제고에 기여 산업·경제 ▪ 북한 광물자원 개발협력을 통한 미래 핵심 전략광물자원의 안정적 공급체계 구축 및 수입의존도 감소 ▪ 북한 광산개발 활성화를 통한 남북한 광업 관련 일자리 창출 및 경제발전에 기여 ▪ 남북 자원공동개발 마스터플랜에 따른 통일전후 사업 조기 추진을 통한 남북한 경제공동체 구성에 기여 (출처 : 요약서 5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