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1.분석자 서문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은 최근 떠오르는 에너지저장기술에 대한 혁신, 투자, 그리고 보급 전략에 대한 상호 발전을 요구한다. 탈탄소화 에너지 시스템 연구 플랫폼은 배터리 기술 중 재료 측면에서의 혁신을 필요로 하며, 동시에 배터리 저장 관련 시장의 성장 및 혁신을 유도하는 정책을 통해 가격 저감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저장 기술 분야의 연구개발을 연계시키고 효율적으로 보급하여 저탄소 전력의 가격경쟁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자료에서는 배터리 저장 관련 재료 혁신에 대한 투자와 기술의 보급에 대한 가치와 관련된 두 가지 인자 기반의 모델을 활용한 분석 결과를 제공하고 있다.[1] 2. 목차 1. 서론 2. 배터리 저장 혁신에 대한 체계 적용 3. 규모의 경제 및 혁신에 대한 모델 4. 미래 저장 가격에 대한 예측 5. 연구개발 비용 지출을 통한 가격 저감 6. 분석자 결론 본 자료에서는 두 가지 인자 기반 모델을 통해 배터리 저장(특히 리튬 이온 저장 방식) 분야의 가격 저감을 유도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모델에 따르면 정책을 통해 단순한 생산량의 증가를 유도하는 것은 가격 저감에 비효율적인 방법이며, 효과적인 가격 저감을 위해서는 보급과 연구개발의 혁신이 적절하게 도입되어야 한다. 이때, 보급에 집중하기보다 탐색(재탐색)에 의한 학습을 활용하는 것이 가격 저감 속도를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이는 보급 및 확산을 위한 정책보다는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 및 이를 통해 창출되는 혁신이 가격 저감에 더욱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주목해야 할 점 중 하나는 연구개발에 대한 공공지출(예산)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배터리저장기술은 전기화학과 재료과학 분야에 기반하고 있는데, 효과적으로 가격 저감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상기 분야에 집중적으로 공적 투자가 지원되어야 하며, 벤처 투자 방식 또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이때, 성과의 지표로서 특허 활동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N. Kittner, F. Lill and D. M. Kammen, “Energy storage deployment and innovation for the clean energy transition”, Nature Energy, 2, 17125-17130 (2017). 2. H. J. Schellnhuber, R. Rahmstof and R. Winkelmann, “Why the right climate target was agreed in Paris”. Nature Climate Change 6, 649-653 (2016). 3. B. Nykvist, and M. Nilsson, “Rapidly falling costs of battery packs for electric vehicles”, Nature Climate Change 5, 329-332 (2015). 4. G. F. Nemet, and D. M. Kammen, “US energy research and development: declining investment, increasing need, and the feasibility of expansion”, Energy Policy 35, 746-755 (2007). ※ 이 자료의 분석은 현대자동차의 윤석환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