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갯벌 바지락 양식 최적 관리기법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7-0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갯벌연구센터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인천∼전북지역 바지락 양식장에서 쏙은 5,126ha에 서식, 135개 어촌계가 바지락 생산 차질로 연간 135억원의 피해. 특히, 충남 및 인천 영흥지역에서 피해가 많았음 ○ 충남 홍성 갯벌에서 기존 쏙(Upogebia major )과 다른 가시이마쏙(Austinogebia. wuhsienweni)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견하여 학계에 보고함 ○ 쏙 구멍수가 75개 이상일 때, 쏙이 없는 지점과 저서동물의 출현종 수 및 저서동물의 개체밀도 등 저서동물 군집에 영향이 있었음 ○ 어업인들은 쏙 서식으로 인해 바지락과 가무락이 가장 피해가 많은 것으로 인식함 ○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쏙 제거용 경운장치 개발을 시도하여 최종적으로 '유압회전식 로터리와 쟁기를 부착한 갯벌경운장치“ 를 개발함. 동 장비로 4월 하순부터 5월 하순 사이에 2회 연속 경운 시 어미와 착저 직후의 쏙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음 ○ 쏙 상시 서식 고노출 갯벌에서는 잠입깊이가 상대적으로 깊은 가무락이 생존에 유리하였음 ○ 쏙은 고품질의 단백질, 감칠맛을 내는 아미노산, EPA 등을 함유하며, 가식부내 중금속이나 농약성분 함량은 식품기준치 이하로서 특산식품으로 개발할 수 있는 가치를 보유 ○ 바지락 치패의 자연 발생량 증대를 위해 태안 근소만 바지락 어장 2개소(파도, 법산)에 굵은 모래 살포, 경운 등 저질개선 결과, 파도리어장에서 각장 300㎛∼2mm 치패 가입량이 대조구에 비해 1.5∼4배, 각장 5∼45mm 사이의 종패와 성패량도 최대 3.8배 높은 결과가 나타남 ○ 고창갯벌에 4월에 중국산 바지락을 이식 시 패각 파손, 장시간 공기노출 등 스트레스로 인한 초기 폐사가 많았고, 태안산에 비해 1년차의 성장도 느렸음. 각장 약 25mm 크기의 종패 이식 시, 약 1년후인 5월부터 각장 40mm 이상 개체가 나타나고, 평균 중량도 6~7월에 최대값에 도달하므로 6월 중순까지 출하하여 하절기 폐사 피해를 줄일 필요가 있음. ○ 고창갯벌에서 충청산과 중국산의 산란 개체 출현 시기는 각각 5월, 7월이었고, 중국산은 11월이 되며 신경손상지표 증가, 2월부터 충청산에 비해 폐사가 높은 경향이 있었음 ○ 고창갯벌에서 잠입환경 개선을 위한 사패각 제거 등 저질개선 시, 여름철 폐사 저감 및 고수온기 이후 폐사율이 신속히 낮아지는 효과가 있었음 ○ 곰소만과 근소만 지역의 바지락 양식관리 방안, 쏙 피해 최소화 및 피해복원을 위한 어장 관리방안을 매뉴얼로 발간하여 어업인 등에게 배부함 (출처:보고서 요약 p.3)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70000748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