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1. 최종연도 사업목표 ㅇ 기능성 화학소재 4개 강국 도약을 비전으로 원천기술 산학연 공동 연구의 활성화 및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기술 집약형 강소기업을 육성하고 기업 매출 및 고용 창출 극대화를 목표로 추진 – 동 사업은 기능성 화학소재 제품의 기초 기술개발(물성분석 및 제조기술 등)부터 시제품 생산 및 사업화 직전단계인 Scale-up 단계까지 지원하기 위한 기반구축사업으로, 특히 고분자, 에너지환경, 정밀화학 등의 기능성 화학소재분야의 고부가가치 기술집약형 강소기업 육성 및 전문 인력 양성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하고자 함 – 이러한 계획을 바탕으로 구축된 융복합소재지원센터는 기업별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원료에서 제품생산까지 가능하도록 기업의 활용도가 높은 장비로 센터를 구성하여 장비를 구축함 – 구축된 장비는 연구개발 및 생산이 유기적 연계가 가능하도록 소재별 특성에 맞게 시스템화하여 운영되고, 위탁연구 및 공동연구개발 중심으로 R&D와 연계하여 운영함으로써 중소기업의 기술개발활동에 시너지 효과가 예상되며, 기능성 화학소재 관련 기업의 기술력 향상을 위해 기술 표준화 및 교류 인프라를 구축하여 중소기업의 기술력 및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고자 함 – 동 사업의 센터 및 장비구축을 통하여 사업화핵심기술 4개 과제에 대한 중소기업의 연구개발을 위한 물성분석 및 공정 기술 개발 및 실증화를 지원하고 기술컨설팅 및 산학연 협력체계 및 기술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하여 기능성 화학소재 제품 분야 중소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및 기업 활성화를 통한 수출지원으로 이어져 국가발전 및 이미지 개선을 이루고자 함 2. 기반조성의 목적 및 중요성 가. 목적 ㅇ 동 사업은 기능성 화학소재의 기술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기반구축사업임 ㅇ 이를 통해 기술의 고도화를 위한 관련기업의 기술개발 역량을 강화를 지원하고 기업의 기술력 강화와 경쟁력 확보를 위해 산・학・연과 유기적인 협조체계로 운영 나. 중요성 ㅇ 융복합소재지원센터는 국내기업이 기능성 화학소재를 개발하고 사업화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지원센터와 그에 따른 장비를 구축 ㅇ 범용 제품의 80%를 넘는 개도국형 생산구조를 가지는 우리나라 화학소재 산업의 생산구조를 개편 ㅇ 고부가가치 기술집약형 강소기업을 육성하여 기능성 화학소재 분야의 국가 경쟁력을 강화 3. 기반조성 내용 및 범위 ㅇ (소재실증화 지원체계 구축) 소재 실증화를 통한 비즈니스 모델 제시 및 구축 장비를 통한 Scale-up 지원 * 위치 : 전라남도 광양시 세풍산단1로 89 세풍산단 내 * 규모 : 연면적 7509.55 ㎡(합성반응동, 연구분석동, 위험물저장소 등) * 장비구축 : R&D 기술개발 지원장비 14종 및 실증화 지원장비 2종 ㅇ (기술개발 및 상용화) 기술개발에서 상용화까지 센터의 인프라 기반을 활용하고, 수요업체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함으로써 중소기업의 기술력 확보 및 사업화 성공률을 극대화하여, 범용제품 중심의 단순 생산 및 판매하는 석유화학산업 형태를 기능성 화학소재 기반 고부가가치 산업구조로 재편하여 기업의 기술개발지원 및 상용화를 위한 보급·확산 체계 구축 4. 기반조성 성과 가. 기반구축 나. 장비구축 ㅇ 총 16대 R&D 기술지원 및 상용화지원 장비 구축 다. 기업지원실적 ㅇ 기술지원사업 56개 기업 지원 ㅇ 기술컨설팅 지원 20건 수행 라. 사업운영 실적 ㅇ 네트워크 활동 개최 5.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가. 활용방안 ㅇ 동 사업의 기반구축과 동북아의 관문인 광양만권의 완벽한 교통망, 산업인프라 및 맞춤형 산업단지를 활용한 글로벌 화학기업 유치, 공동기술 개발을 통한 고부가가치형 미래소재산업 육성 ㅇ 결과활용기관의 요구를 반영하고 산학연 연계 협력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광양만권 내에 입주한 대기업 및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체계를 강화함으로써 국내 중소기업의 글로벌 대응 역량을 고취하고 해외에 진출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 나. 기대효과 ㅇ (기술적 측면) 동 사업 추진으로 기능성 화학소재의 원천기술 확보 및 제품의 경쟁력을 제고하여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를 해소하고, 기술집약형 강소기업을 육성하여 전자, 자동차, 조선, 항공, 섬유, 건설 및 IT, BT, NT가 결합된 정보통신, 우주항공, 에너지 산업과 같은 다양한 연관 산업의 고기능화, 고부가가치화에 기여 ㅇ (경제적 측면) 동 사업의 추진으로 기능성 화학소재 제품 산업 및 타 산업전반에 유발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살펴보면, 생산유발효과가 1,420억원, 소득창출효과가 617억원, 취업유발효과가 1,136명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 ㅇ (사회적 측면) 기존 생산중심 하드웨어적 산업단지를 R&D 개발-생산-수출이 선순환되는 창조형 산업단지로 전환함으로써 중소 화학소재 기업창업 및 외투기업 유치 촉진, 만성적 대일무역적자 품목인 고부가가치 기능성 화학소재의 연구개발 결과물의 상용화를 촉진함으로써 수입대체 및 대일무역적자 해소를 앞당기는 기반을 확충 (출처 : 요약서 4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