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의학적 진단 목적의 종이 기반 미세유체 시스템의 실용적 응용: 최첨단 기술 및 도전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7-06-14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이상후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 분석자서문 미세유체 종이 기반 분석장치(microfluidic paper-based analytical devices, m PADs)는 10년 전부터 하나의 진단 플랫폼으로 주목을 받았던 시스템인데, 현재까지도 학술적인 연구개발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었지만 실생활에서의 응용은 여전히 제한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가 연구개발과 실제적인 응용(특히 구동적인 단순성, 장치의 장기간 안정성 및 관련된 부수적인 장치) 사이의 상당한 차이 때문이다. 이 분석문에서는 1)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PADs 사례, 2) 구동적 복잡성, 신호 해석 및 저장 안정성 측면에서의 m PADs의 현재 상태와 해결해야 할 문제, 그리고 3) 구축된 제조 기술에 기반한 대량생산의 가능성, 마지막으로 4) 최첨단 기술이 접목된 PADs의 상업화와 실험실 기반 시제품으로부터 최종 사용자용 제품 생산까지 필요한 업그레이드 사례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소개하고자 한다[1]. 2.목차 1. 개요 2. 시장에서의 PADs 2.1. 계량봉 2.2. LFIA 2.3. 상업화된 PADs의 성공 요인 2.4. 상업화된 PADs의 기술적인 진보 가능성 3. m PADs의 기술적 상태 4. 간단한 건강 체크용 m PADs의 구동 4.1. 분리 4.2. 혼합 및 시약 첨가 4.3. 시료 부피의 영향 4.4. 시료 전달 부피의 조절 5. 단순한 신호 판독 및 결과 해석 5.1. 정량적 신호 판독 5.2. 반정량 신호 판독 6. 검출 기술의 선택 6.1. 비색법 6.2. 전기화학 검출법 6.3. 화학발광 검출법 6.4. 형광 검출법 6.5. 전기화학발광 검출법 6.6. 광전기화학 검출법 7. 저장 안정성 7.1. 비환원당 7.2. 실리카 졸-젤 소재 8. 대량생산 8.1. 미세유체 구조 패턴화 8.2. 검사 성분들의 증착 8.3. 다층 구조의 조립 9. 시장에 출시된 m PAD의 최신 기술 9.1. Alanine aminotransferase(ALT) 검사용 3D- m PAD DFA) 9.2. 미세영양소 검사용 3D- m PAD(DFA) 9.3. 핵산 검사용 종이 장치 (DFA) 9.4. 문자로 결과를 보여주는 혈액형 검사 (Haemokinesis) 9.5. 감염성 질병 검사용 LFIA 장치(INSiGHT) 10. 분석자 결론 및 전망 References 1. K. Yamada, H. Shibata, K. Suzuki and D. Citterio, Lab Chip., 2017, 17, 1206-1249 2. A. W. Martinez, S. T. Phillips, B. J. Wiley, M. Gupta and G. M. Whitesides, Lab Chip, 2008, 8, 2146 ndash;2150 3. A. W. Martinez, S. T. Phillips, M. J. Butte and G. M. Whitesides, Angew. Chem., Int. Ed., 2007, 46, 1318 ndash;1320. 4. Recommendations for Clinical Laboratory Improvement Amendments of 1988 (CLIA) Waiver Applications for Manufacturers of In Vitro Diagnostic Devices, http://www.fda.gov/MedicalDevices/DeviceRegulationandGuidance/GuidanceDocuments/ucm079632.htm , (accessed December 21, 2016). 5. E. Fu, T. Liang, P. Spicar-Mihalic, J. Houghtaling, S. Ramachandran and P. Yager, Anal. Chem., 2012, 84, 4574 ndash;4579. 6. G. Lenk, A. Pohanka, G. Stemme, O. Beck and N. Roxhed, Proc. MicroTAS 2013, Freiburg, Germany, 2013, pp. 281 ndash;283. 7. J. Houghtaling, T. Liang, G. Thiessen and E. Fu, Anal. Chem., 2013, 85, 11201 ndash;11204. 8. L. Zhang, W. Yang, Y. Yang, H. Liu and Z. Gu, Analyst, 2015, 140, 7399 ndash;7406. 9. G. G. Lewis, M. J. DiTucci and S. T. Phillips, Angew. Chem., Int. Ed., 2012, 51, 12707 ndash;12710. 10. L. Shen, J. A. Hagen and I. Papautsky, Lab Chip, 2012, 12, 4240 ndash;4243. ※ 이 자료의 분석은 서울의과학연구소의 이상후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058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