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7. 당해연도 목표 및 범위 □ 목표 개인화 제조 마이크로 스마트팩토리 테스트베드의 기본 제조라인 장비 구축을 통해 개인창업기업·중소 기업의 파일롯 제품 제조 지원 환경 구축 □ 범위 ㅇ개인화 제조서비스 스마트팩토리 테스트베드 구축 - 가상 공장 구축 및 시뮬레이션을 통한 개념 검증 - 개인화 생산이 가능한 스마트팩토리 기본 제조라인 설계 및 구축 - 목표 제품을 선정하여 파일롯 제품 제조 ㅇ제조서비스 운영 - 제품 생산 수요처 연결 - 고객 주문 관리, 비용 산정, 협력사 연결 등의 운영시스템 설계 - 포럼을 통한 전문가 양성 교육 프로젝트 계획수립 ㅇ제조서비스 실증 테스트베드 보급 확산 - 참여기관인 협회와 포럼을 중심으로 세미나, 공모전 등을 주기적으로 개최 - 3개 지역 협력기관인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 - 개인화 제조 서비스 이해관계자들 간의 가치체인을 모델링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비즈니 스 모델을 수립 8. 추진체계 및 방법 □ 연구개발 추진체계 ㅇ (주무부처) 정보통신연구기반구축 업무 총괄, 부처간 업무협의 및 조정, 예산 확보 및 제도정비 등 ㅇ (전담기관) 정보통신연구기반구축 전담관리, 과제별 기획연구, 과제 관리 및 결과 평가 ㅇ (주관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마이크로팩토리 구축/ 목표제품 생산/ 생산운영시스템 설계 ㅇ (참여기관) 대덕이노폴리스벤처협회 - 대전 충청권 수요기업 네트워킹 결성/ 실증제품 선정 ㅇ (참여기관) 창조미래인재포럼 - 동남권 수요 기업 네트워킹 결성/ 개인화 제조시스템 인력 교육 ㅇ (협력기관) 창조경제혁신센터 - 개인·창업기업 아이디어 선정/ 사업모델 검증 ㅇ (위탁연구/외부용역) 대전대/성균관대 - 개방형제조서비스 비스니스 모델 수립/ 시스템 모델링 시뮬레이션 ㅇ (위탁연구/외부용역) 하이비젼 - 기본 제조라인 설계 및 구축 □ 추진방법 ㅇ개인화 제조서비스 스마트팩토리 테스트베드 구축 - 가상 공장 구축 및 시뮬레이션을 통한 개념 검증 - 개인화 생산이 가능한 스마트팩토리 기본 제조라인 설계 및 구축 - 목표 제품을 선정하여 파일롯 제품 제조 ㅇ제조서비스 운영 - 제품 생산 수요처 연결 - 고객 주문 관리, 비용 산정, 협력사 연결 등의 운영시스템 설계 - 포럼을 통한 전문가 양성 교육 프로젝트 계획수립 ㅇ제조서비스 실증 테스트베드 보급 확산 - 참여기관인 협회와 포럼을 중심으로 세미나, 공모전 등을 주기적으로 개최 - 3개 지역 협력기관인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 - 개인화 제조 서비스 이해관계자들 간의 가치체인을 모델링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 9. 수행내용 및 결과 □ (시스템 구축) 개인화 생산을 위한 마이크로 스마트팩토리 테스트베드 구축 ㅇ 기본 제조라인 장비 구축 – 적층제조장비/후가공장비/조립장비/검사장비/이송장비 구축 ㅇ 대상제품 제조 적합성 및 확장성을 고려한 원형 컴팩트 제조라인 설계 ㅇ 가상 팩토리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통산 제조라인 검증 ㅇ 제조 설비 제어(line control)를 위한 장비 제어 네트워크/시스템 구축 □ (시범운영 및 실증) 개방형 FaaS 시스템 시범운영 및 실증 ㅇ 개인화제조 스마트팩토리 전문 인력 양상을 위한 교육 실시 ㅇ 개인화 제조 서비스 시스템 인터페이스 모델 설계 ㅇ 제조서비스 수요제품 선정 및 검증을 위한 전문가위원회 구성 ㅇ 실증용 참조제품 선정(맞춤형비콘, 한글시계) 및 엔지니어링 설계에 따른 제품생산 □ (보급·확산) 마이크로 스마트팩토리 테스트베드 보급 확산 ㅇ 개인화 제품 생산을 위한 개인화 제조서비스 참조모델 및 비즈니스 모델 수립 ㅇ 수요기업 네트워킹 및 수요제품 발굴을 위한 사전조사활동 및 설명회 개최 ㅇ 지역 창조경제플랫폼과 연계 사업 홍보 및 전시회 참가를 통한 스마트 팩토리 보급확산 10. 주요 성과 주요 성과지표 □ 공통 지표 o 시설장비 가동률 목표 : 79% 실적 : 80.6% 산출근거 : - 마이크로팩토리 시설장비 가동율(80.6%) = 290시간/360시간)*100 o 인프라활용 기업지원실적 목표 : 연 7건/억 실적 : 14건 산출근거 : - 기술지도건수: 12건 - 시제품/제품제작지원건수: 2건 □ 고유 지표 o 연구기반·시험환경구축 목표 : 1건 실적 : 1건 산출근거 : - ETRI 융합기술생산센터내에 테스트베드 1건 구축 완료 o 수요자만족도 목표 : 85점 실적 : 91.10점 산출근거 : - 사업 수요자를 대상으로 해당 사업에 대한 만족도 조사(100점 만점 기준) 11. 파급효과 □ 기술적 효과 ㅇ ICT융합형 스마트팩토리 국내 확산을 위해 테스트베드 중심의 기술개발-실증-보급확산 생태계 기반 구축 ㅇ 디지털 제조장비 기반 마이크로 스마트팩토리는 세계 최초로 구축되는 미래형 공장 모델로 성공 시 기술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 ㅇ 스마트팩토리 내 생산설비, 네트워크, 시스템간 상호운용을 위한 표준화 검증 플랫폼 지원 □ 사회적 효과 ㅇ 창조경제정책 정부 지원 플랫폼 (시제품 단계에서 소량 제품 생산단계까지) 확장에 활용 ㅇ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컴퓨터와 아이디어만으로 세상을 바꾸는 새로운 기업가를 위한 창업 기회 제공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 ㅇ 국민의 Idea-To-Market이 가능한 자동화되고 지능화된 공장을 통해 창조 경제 실현을 위한 기반 엔진 제공 □ 경제적 효과 ㅇ 디지털 제조장비 기반 마이크로 스마트팩토리는 세계 최초로 구축되는 미래형 공장 모델로 신제조 생태계를 제시함으로 관련 산업을 선점 기대 - 스마트팩토리 관련 세계 시장규모: 연평균 7.3% 성장 '16년 1,450억 달러 예상 - 국내 산업자동화 시장 규모: 2016년 약 5.3조원으로 연평균 10% 성장 예상 ㅇ 간접적으로 독창적 아이디어의 창의적 제품이 롱테일 소비시장을 성장시킬 것으로 전망 - 2015년 국내소비시장에서 온라인 소비시장규모는 48.6조원(19%)이며, 지속적 성장 추세임 ㅇ 스마트 팩토리 및 개인화 제조를 통한 연계 시장 활성화 및 고용창출 효과 12. 결과활용 등 향후 계획 □ 결과 활용 o 개인 혹은 중소.중견기업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미래형 스마트팩토리 테스트베드로 활용 o 개인화 생산 제조서비스 핵심 제조 인프라 확보 및 구축을 통한 신제조업 경쟁력 강화 o Idea-to-market 플랫폼 지원을 통한 창업활성화 및 중소기업 육성 □ 자립화방안 o 창조경제플랫폼을 연계한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에 마이크로 스마트팩토리 확대 o 정부 및 민간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화 시나리오를 도출하여 기술이전 및 사업화 추진 o 생산. 제조. 설비. 유통. 물류분야에서 제조서비스 운영 및 디지털 설비 자동화를 통한 산업간 연동이 가능하도록 최적화된 스마트 팩토리 확산 기반 조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