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바이오 및 자원순환 핵심기술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6-1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세부과제: 인공 단백질(펩타이드) 기반 흡착제를 이용한 해수 내 리튬의 선택적 회수 기술 개발 Ⅱ 과제의 목표 및 내용 1. 배경 및 필요성 ◎ 기술의 개요 ○ 해수 내에 거의 무한대로 존재하지만(해양 부존량: 2,300억톤) 낮은 농도로 인하여 경제적인 회수가 어려운 리튬을 인공 단백질(펩타이드) 기반 흡착제로 회수하는 기술 ◎ 기술의 필요성 ○ 리튬은 노트북, 휴대폰, 전기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2차전지의 필수 금속으로 수요가 급증하여 세계 자원전쟁의 핵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신전략광물로 지정된 바 있음 ○ 특히 우리나라는 세계 2차전지 시장에서 일본과 중국에 앞서며 확고한 지위를 구축하고 있는바, 안정적인 리튬의 수급이 절실한 상황임 - 2012년 현재 세계 시장에서 38%의 점유율 차지(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2013)) ○ 리튬 부존량이 없는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안정적인 리튬 확보를 위하여 해양에 거의 무한대로 존재하는 리튬을 회수하고자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나, 낮은 농도로 인한 회수 경제성 문제로 아직 상용화에 성공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임 ◎ 국내외 기술현황 1) 전통적 리튬 생산 공정 - 칠레의 SQM사가 염수(brines)에서 염화 리튬을 생산 중이며 현재 대표적인 생산기술로 활용 중. 증발 결정화공정은 약 1년의 시간이 필요한 단점이 있음 - 최근 새로운 광상을 이용하거나 유전, 지열수, 해수 등에서 리튬을 생산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개발이 국내외에서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음 2) 해수 리튬 생산 공정 - 일본의 Saga 대학의 해양에너지연구소에서 해수로부터 리튬을 랩규모로 생산하는 기술에 대해 보고함. 리튬 흡착제로서 spinel 구조의 LMO (Li 1.33 Mn 1.67 O 4 ; Li 1.6 Mn 1.6 O 4 ) 등을 이용하나, 흡수된 리튬의 추출을 위해 고가의 용매를 사용하고 에너지 소비량이 높은 단점이 있음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2009년 5월 해수에서 리튬만을 분리 추출하는 기술을 개발하여,POSCO와 2014년까지 상용화 기술을 개발하고 연 30톤 생산 규모의 시험플랜트 시설을 구축하는 사업을 진행 중임. 리튬 흡착제 제조기술은 일본과 유사하나, 흡착제 용기 조립기술인 분리막형 레저버(리튬흡착제 충진) 시스템이 특징임 2세부과제: 맞춤형 복합응집제 이용 녹조 바이오매스 회수 원천기술 개발 Ⅳ.연구개발 결과 및 활용에 대한 건의 본 연구는 '재생가능한 스마트 응집제'를 이용한 미세조류 바이오매스의 저비용 고효율 회수를 위한 스마트 응집제 개발에 관한 것으로 주요 연구개발 결과는 아래와 같다. APTES(3-aminopropyltriethoxysilane)를 이용하여 음 전하를 띄는 자성 미립자의 표면에–NH 2 기를 도입하여 양의 전하를 띄게끔 개질하는 기술과, pH를 입자의 등전점(IEP,Isoelectric point) 값보다 높여 양의 전하를 띄는 APTES-BaFe 12 O 19 입자를 음의 전하를 띄게 끔 개질하는 기술을 통해 미세조류용 자성 응집제를 개발하였다. 미세조류가 pH 4-12의 범위에서 음의 전하를 띄고 있기 때문에 APTES로 표면 개질한 양의 전하를 띄는 BaFe 12 O 19 입자로 배양액의 pH 7에서는 미세조류와 자성 미립자를 응집시킬 수 있었으며 pH 12에서는 APTES-BaFe 12 O 19 입자도 역시 음의 전하를 띄기 때문에 정전기적 반발력을 이용하여 미세조류와 분리시킬 수 있었다. 분리된 자성 미립자는 외부자력으로 다시 회수하여 새로운 미세조류를 회수하는 데 다시 적용될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는 자성 미립자를 이용한 미세조류 수확 연구 분야에서 자성 미립자를 재사용하기 위해 간단한 pH 조절을 통해 응집물로부터 분리할 수 있었다. 모든 Fe 3 O 4 /탄소 복합체는 약한 hysteresis를 가지며 ferromagnetic 유형의 자기 이력곡선을 나타냈다. 포화 자화 값은 PVP 함량이 0%, 33%, 66%, 80%, 100%로 변화됨에 따라 39.4,67.4, 44.1, 39.2, 35.6 emu/g 으로 변화하였다. 양전하를 띄는 Fe 3 O 4 /탄소 복합체 (PVP/Fe nit.=0.8)를 이용하여 미세조류 수확실험을 실시하였을 때 수확효율은 99% 이상의 효율을 보였으며, 수확 시간은 1분도 채 걸리지 않았다.수확된 응집물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클로로필로 인해 자체발광을 띄는 Chlorella sp.가 자성 응집제에 의해 잘 둘러싸여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PVP/Iron nitrate의 질량비가 달라짐에 따라 분무 열분해 공정으로 합성된 Fe 3 O 4 /탄소 복합체의 형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나타낸다. 액적 내의 PVP가 많아짐에 따라 매끈한 표면에서 울퉁불퉁 거친 표면으로 변화하는 것을 SEM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폐철 입자의 크기를 줄이는 방법으로는 기계식 밀링을 이용했으며, 이 후 마찬가지로 환원공정 및 PEI (Polyethyleneimine)를 이용한 표면 개질을 통해 모델 균주의 수확에 응용하였다.그 결과, 모델 균주 회수율 98% 기준 밀링을 진행하지 않은 자성 입자의 경우 5.98 g particles/g algae, 밀링을 진행한 자성 입자의 경우 3.71 g particles/g cell로 밀링을 진행한 경우에 모델 균주를 회수하는데 필요한 자성 입자의 양이 더 적었다. 자성응집에 쓰여진 4개의 미세조류에 대해 세포크기를 측정하였고, 자성응집의 효율도 관찰하였는데, 결론은 세포크기가 자성응집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분무열분해법을 통해 합성한 자성입자 (이하 Hollow Fe 3 O 4 )는 500 nm∼ 1 μm 의 사이즈 분포를 갖으며 별다른 표면개질제가 필요 없이 pH 조절만으로 입자의 표면전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른 입자들보다 경제성이 뛰어나다고 판단된다. 분무 열분해법을 이용하여 합성한 자성입자의 조성은 Fe 3 O 4 / FeO /Fe 이며, 실험시 초기 미세조류 농도 1.431 g/L 이다. 수확 후 상등액의 미세조류 농도 0.0047 g/L 로 수확효율은 99.66%이었다. Fe 3 O 4 /탄소 복합체를 이용하여 모델 균주 Chlorella sp. KR-1를 수확한 후에 pH 12인 NaOH 수용액(∼1/10)으로 Fe 3 O 4 /탄소 복합체와 미세조류를 분리하였다. 자성미립자와 모델균주의 분리를 위하 사용된 알칼리 용액은 단단한 세포벽을 느슨하게 하는 기능이 있어 초음파 처리를 5∼10분정도 해주면 세포내 지질이 추출하게 되었다. 수확과 세포파쇄에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Fe 3 O 4 자성 나노입자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약간 변형된 공침법을 이용하여 Fe 3 O 4 나노 입자를 합성하였다. 그 후 OTES로 코팅을 하고 이어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개질하였다. 양전하로 개질한 Fe 3 O 4 나노 입자는 미세조류 배양액에 넣고 Fe 3 O 4 가 붙은 미세조류는 외부 자기장으로 분리한다. 또한, Fe 3 O 4 나노 입자를 조류의 표면에 붙여두는 것은 세포벽을 파괴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Fe 3 O 4 입자와 조류를 정전기적 반발력으로 분리하기 위해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SDS를 이용하였으며, 세척과정이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재개질 과정을 통해 여러 번 재사용할 수 있었다. 합성된 자성 미립자 BaFe 12 O 19 의 XRD 패턴 그래프와 자기 이력 곡선을 조사하였다. XRD분석 결과, 합성된 자성 미립자는 모두 BaFe 12 O 19 의 hexagonal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 결정자 크기는 37.9-40.8 nm로 거의 비슷하였다. 바륨 페라이트 전구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포화 자화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Hollow Fe 3 O 4 는 5.7 g 조류/g 응집제의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재사용 실험을 진행하였다. Dichloromethane(이하 DCM)와 Methanol을 일정비율(7:3)로 혼합한 용매와 함께 pH조절을 통해 재사용 횟수 10회, 재생효율 90% 등 우수한 성능을 얻었다. 구형이 아닌 다른 형태의 자성 입자를 합성하는 것과 동시에 Hollow한 자성입자로부터 얻은 아이디어인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70000051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