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커뮤니티케어 서비스에서의 노인영양돌봄은 단지 서비스이용자가 끼니를 때울 수 있도록 하는 소극적 지원이 아니라, 고령자의 특성을 반영한 식사제공과 영양관리를 병행하는 적극적 서비스제공을 통하여 개별적 욕구와 필요를 충족시켜 건강상태 및 자립적 일상을 유지 또는 개선 ◯ 공공 행정기관과 민간 서비스 수행기관의 효율적 연계 플랫폼 디자인 ◯ 고령자 식생활 욕구 분석을 위한 스크리닝 시스템 디자인 ◯ 방문형 식사배달서비스, 거점형 영양돌봄식당서비스 모델 시범운영 ◯ 영양돌봄서비스 통합 플랫폼 및 해당 서비스산업 확산을 위한 모델 제시 □ 연구개발성과 ◯ Web-도구 확장 : 기존의 욕구조사용 ICT tool의 추가수정을 통해 서비스결과 평가, 만족도조사, 식행동변화 추적조사 등 실시할 수 있도록 정비 ◯ 대상자 모집 : 본 사업과 동일한 시점에서 고령 만성질환자 영양간편식 지원사업 위탁을 받아 대상자 수가 약 4배수로 늘어났고, 추가로 건강한 고령자를 일정수 스크리닝하여 비교군 대비 통계적 분석 가능한 결과 도출함 ◯ 서비스는 만성질환식 (저염식)을 원칙으로 함 : 고령자 대부분이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어 임상영양전문가의 식단구성자문을 받아 치료식과 저작, 연하장애에 대한 대처 가능하였음 ◯ 서비스 유료구매 : 식당이용자 전원은 최소한의 식비를 지출하고 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배달식사이용자 들중 일부가 유료로 지속적 서비스받기를 원하는 경우도 10명 이내에서 있었음 ◯ HMR 이용 평가 : 주말식으로 HMR-일품식이 제공되었으며, 전일조리 후 배달한 도시락보다 만족도 떨어졌으나 대부분의 경우 수용함 ◯ 대상자 식생활문제 구체적 파악 : 자치구와 보건소에서 발굴한 식사서비스 대상자의 식생활은 불규칙, 불균형하고, 거동 가능한 경우에도 활동량이 적으며, 독거환경은 우울증, 인지장애 등과 무관하지 않아 식생활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요소임. 연하곤란에 대하여 잘 인식하지 못하며, 수분섭취는 그룹별 20~50% 정도 부족하게 섭취함. 불균형, 불규칙 식사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경제적 문제이며, 교육을 통해 수정가능한 식행동은 국물섭취 지양, 충분한 수분섭취,규칙적인 식사 등임 ◯ “고령자 영양돌봄을 위한 심포지엄”개최 : 다양한 분야 전문가 참여 및 토론하였고, 고령자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구체적 세부적 방안의 필요성 공감 □ 연구개발성과의활용계획 (기대효과) ◯ 본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확인된 서비스내용을 일부 반영하고, 민간자격증 부여하는 고령자 식생활 코디네이터 교육과정을 접목하여 어르신 배달급식사업 자활기업 프랜차이즈 모델’ 추진 ◯ 식사서비스 이용자 규모를 고령자 중심으로 카테고리화 하고, 맞춤유료서비스로 이요 대상자 확장을 통해 미래 고령자 식품산업 기반 닦음 ◯ 복지선지국의 커뮤니티케어 식사서비스 체계를 참고하여 한국형 고령자를 위한 급식품질표준서, 맞춤 식사서비스 사용자가이드 등 개발 ◯ 고령자의 일상에서 가장 중요한 식생활을 지역사회 돌봄으로 가볍게 터치해 주어, 사회적으로 무겁고 부담이 큰 중증 요양돌봄에 도달하는 것을 예방 (출처 : 요약문 14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