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폐자원 활용 신재생에너지 생산효율 증대를 위한 비통상적 기질을 동시에 발효하는 플랫폼 미생물의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2-03-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경북대학교
연구책임자 김수린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요 - 과일 부산물은 리그닌 함량이 낮아 전처리가 용이하고 오렌지, 귤 등의 세계 citrus fruit 생산량은 2010년 기준 연 8천만톤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지만 가공공정에서 해당 중량의 절반 가까이가 citrus waste로 버려지고 있어 citrus waste가 차세대 바이오매스로 떠오르고 있음. - 특히 과일 부산물은 펙틴이 존재하며 그 구성성분은 2개의 주성분(Galacturonic acid, L-arabinose)과, 3개의 부성분(galactose, L-rhamnose, xylose)으로 이루어져 있음. 본 연구에서는 가장 많이 활용되는 산업 미생물의 하나인 효모 S. cerevisiae를 이용하여 다양한 미생물 대사공학 전략을 통해 펙틴 유래 5개 구성성분의 단독 및 혼합 발효가 가능한 균주로 개발하였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펙틴의 주성분인 펙틴산(galacturonic acid)은 미생물의 발효를 억제하는 유기산이기 때문에 이를 효과적으로 발효할 수 있는 미생물 균주의 개량이 어려웠음. 본 과제에서는 이전 연구로부터 개발된 펙틴산 대사 균주의 펙틴 발효 기능을 향상시키고자 적응진화(adaptive evolution)을 수행하였으며, 다양한 환경적 조건에서 기능을 확인하였음. - 또한 비통상적 탄소원 중 하나인 L-rhamnose는 현재까지 개량을 통해 대사하는 균주가 보고된 바가 없으나, 본 과제를 통해 L-rhamnose를 대사하는 미생물 균주를 개량하였고, 오믹스 분석 등을 통해 대사경로를 최적화시킴으로써 L-rhamnose의 발효 능력을 향상시켰음. 또한, 펙틴 유래의 혼합당 조건에서 발효 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음. 이 외에, 펙틴산 및 L-rhamnose등의 대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내인성 NADPH 조절 유전자를 스크리닝 및 특정 유전자를 확보하였음. - 최종적으로 5종의 비통상적 탄소원을 동시에 대사할 수 있는 단일 균주를 개발함으로써 5종의 탄소원을 동시에 대사하는 능력을 확인하였고, 나아가 실제 폐자원인 감귤박(citrus peel waste)을 이용하여 bioethanol 및 L-lactic acid를 생산함으로써 산업화의 가능성을 제시하였음.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발효를 통해 생산된 식품·바이오소재로 기존의 화학적 합성품 대체 - 화학적으로 생산되는 식품소재들에 대해 소비자들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므로 발효를 통해 생산된 동일 소재들로 대체함. - 농업부산물 등의 과일계 폐기물을 활용하는 공정은 기존의 원유기반 화학공정과는 달리 탄소순환형 지속가능한 공정으로 탄소저감화에 기여할 수 있음. - 뿐만아니라 해조류 등의 해야 폐기물 또한 적용이 가능하므로 활용 범위가 넓어져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함. 나. 신규 탄소원 소재 발굴을 통한 환경적 문제 해결 및 고부가가치 물질의 생산 - 목질계 바이오매스는 현재 산업화 단계 이전까지 발전했지만, 화학적 처리 등의 전처리 과정에 의한 발효 효율의 감소를 극복하기가 힘든 반면, 과일계 폐기물은 열수 처리에의해 대부분 분해가 되어 이를 활용하고자 함. - 과일계 폐기물을 구성하는 탄소원은 발효에 이용되지 않는 탄소원이므로 본 연구를 통해 신규 탄소원으로써 고부가가치 물질을 얻어낼 수 있는 대체원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세포 내 redox의 개선 전략은 고부가가치 물질의 생산 수율을 향상시키는 방안으로 제시 될 수 있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20001622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