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비만과 관련된 genetic biomarker 연구 동향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2-04-13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이상후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비만(Obesity)은 전 세계 인구 8명 중에서 1명이 체질량지수(BMI)가 35 kg/m2 이상일 정도로 심각한 질병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심지어 대사성질환의 글로벌 팬데믹으로 불릴 만큼 주요한 공중보건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16년 기준으로 약 6억 5,000만 명 이상(전 세계 인구의 13&#37;)이 비만인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10억 9,000만 명(전 세계 인구의 39&#37;)이 과체중인 것으로 보고하였다.[1] 질병성 비만은 비만과 관련된 합병증이 최소한 하나 이상이면서 BMI가 35 kg/m2 이상이거나 또는 BMI가 40 kg/m2 이상일 경우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런 질병성 비만인의 수가 전 세계 인구의 약 2~6&#37;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br /> 비만은 유전적 및 환경적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영향받는 복잡한 질병이며,[3] 제2형 당뇨, 고혈압, 심혈관질환 및 암 같은 질병 발생에 대한 주요한 위험 요소이다. 이러한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되면 비만 환자들의 사망률이 높아지게 된다.[4] 아울러 비만은 Prader-Willi syndrome, Bardet-Biedl syndrome 또는 Albright&rsquo;s hereditary osteodystrophy 같은 질병에서 나타나는 표현형 중에 하나이기도 하다. 이러한 syndromic 질병과는 별도로 non-syndromic 단일유전자(monogenic) 비만이 우성유전 또는 열성유전일 수 있는데, 이러한 원인은 leptin-melanocortin 신호전달 경로에 참여함으로써 에너지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유전자에서의 병인성(pathogenic) 변이에 기인한다. 여기에 속하는 유전자들이 LEP, LEPR, MC4R, POMC 및 PCSK1이다. 동형접합(Homozygous carriers)에서, 이러한 유전자 중 하나에서 기능 손상(loss of function)을 유발하는 돌연변이가 leptin-melanocortin 신호전달 경로에 문제를 일으켜 결국 단일유전자 비만을 초래한다.[3]<br /> 최근까지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GWAS) 기법을 사용하여 비만과 관련된 유전적 소인들을 밝혀내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5] GWAS를 통해 과체중과 비만을 유발하는 데 관련된 변이들은 대개 흔한 변이(common variants)들이며, 희귀 변이(rare variants)의 발굴을 위해서는 next-generation sequencing(NGS) 기법이 종종 사용되고 있다.[6]<br /> 이 보고서에서는 비만과 관련된 유전적 생체지표들의 전 세계 연구 동향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br /> &nbs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215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