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개발 목적 및 필요성 알레르기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환경유해인자가 알레르기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알레르기질환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알레르기질환 어린이의 대표적 생활공간인 주택과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실내외 공기 및 생물학적 유해인자의 오염실태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이것을 노출평가에 활용할 수 있도록 DB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연구개발 결과 1. 아토피피부염 어린이 주택의 실내외 공기질 특성화 : 45개 주택을 대상으로 총 48회 기체상 및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카르보닐화합물의 채취 및 분석, 미생물의 채취 및 분석을 통해 실내외 공기 및 생물학적 유해인자의 오염실태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였고, 각 주택마다 별도의 결과보고서를 작성하였다. NO 2 , PM 10 및 PM 2.5 의 1시간 평균농도를 인근 대기오염측정소의 관측값과 비교하였다. 실내외 PM 10 및 PM 2.5 농도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기온과 아파트 층수가 주요인자임을 밝히고, 실내외 농도비의 상관식을 제시하였다. 2. 어린이집의 실내외 공기질 특성화 : 9개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총 12회 기체상 및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카르보닐화합물의 채취 및 분석, 미생물의 채취 및 분석을 통해 실내외 공기 및 생물학적 유해 인자의 오염실태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였고, 각 어린이집마다 별도의 결과보고서를 작성하였다. NO 2 , PM 10 및 PM 2.5 의 1시간 평균농도를 인근 대기오염측정소의 관측값과 비교하였다 3. 개인노출평가를 위한 주택 및 어린이집 실내공기질의 장기측정 : 시간활동 패턴을 고려한 개인노출평가에 필요한 장기간 오염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10개 주택과 1개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측정항목을 단순화시켜 7일 동안 장기측정을 실시하였고, 각 측정마다 별도의 결과보고서를 작성하였다. 4. 주택 및 어린이집 주변 도로상 대기질 특성화 : 주행측정차량(mobile laboratory, ML)을 이용하여 35개 주택과 10개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실내외 공기질 측정기간 중 하루 동안 매 시간마다 주변 도로를 주행하면서 도로상 오염도를 측정하였고, 각 측정마다 별도의 결과보고서를 작성하였다. 5. 상세오염지도 작성 : 서울시 송파구의 2×2 ㎢ 지역을 대상으로 ML을 이용하여 대기오염도를 상세하게 모니터링하여 50×50 ㎡ 격자의 평균오염도를 오염지도로 작성하였다. 6. 실내외 공기 및 생물학적 유해인자의 DB 구축 : 주택 및 어린이집의 실내외 공기질 측정자료를 노출평가에 용이하도록 4개 시간대로 구분하고 29개 항목으로 DB를 구성하여 주택과 어린이집 DB를 각각 234, 48 set을 구축하였다. 성능사양 및 기술개발 수준 주택 및 어린이집의 실내외 공기 및 생물학적 유해인자 DB 1. 구성 : 29개 항목(4개 기본사항[측정일, 구분코드, 측정위치, 날씨], 2개기상인자[기온, 상대습도], 5개 입자상 인자[PM 10 , PM 2.5 , black carbon, particle number, particle surface area], 14개 가스상 인자[CO 2 , NO, NO 2 , TVOC,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m-xylene, p-xylene, stylene, formaldehyde, acetaldehyde, acrolein+acetone, benzaldehyde], 4개 생물학적 인자[bacteria, fungi, endotoxin, β-glucan]) 2. 시간대 : 주택(시나리오 1 : 전날 17:00-당일 17:00, 시나리오 3 : 전날 19:30-당일 07:30, 시나리오 4 : 전날 17:00-당일 09:00), 어린이집(시나리오 2 : 전날 17:00-당일 17:00, 시나리오 3 : 당일 07:30-19:30, 시나리오 4 : 당일 09:00-17:00) 3. DB 수 :주택 234 set, 어린이집 48 set 4. 수준 : 종합적인 실내외 공기질 DB는 국내 최초이고, 아울러 세계 최초라고 추정된다. 활용계획 환경보건정책 수립 시 알레르기질환 어린이의 생활환경 오염도 실태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2015년 12월 개정된 '실내공기질 관리법'에서 명시한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관리지침 개발 시 과학적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환경성질환 어린이의 개인노출평가에 필요한 측정자료의 표준화에 활용될 수 있고, 저비용으로 주택 및 어린이집의 실내공기질을 관리하는데 필요한 모델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출처:요약서 p.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