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프락셔널 레이저로 미세상처 유발 후 비침습적으로 역동적인 피부 재생과정 규명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1-03-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경희대학교
연구책임자 신민경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요 상처 치유, 조직 재생, 흉터예방(wound healing, wound repair, wound regeneration, scarless) 분야는 미래 항노화 치료 분야와 재생 의학 치료분야의 토대를 마련할 매우 핵심적인 분야임. 또한 피부 미용적인 측면이 아니라 삶의 질과 관련하여 최상의 재생을 유도하는 치료는 향후 미래에 개발이 필요한 중요한 연구주제임. 또한 피부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후보 물질이나 재생을 촉진시키는 활성물질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적절히 평가하기 위한 방법의 부재로 상처 치유 혹은 피부 재생 효능을 검증하기 위한 이상적인 인체 모델에 대한 필요성도 높음.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피부층별로 역동학적으로 진행되는 피부층별 재생과정을 규명하여, 피부이미지화를 통해 비침습적, 반정량적으로 피부의 재생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표준화된 in vivo human skin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CO2 fractional laser를 조사하여 micro-wound를 생성 한 후 상처회복되는 경과를 reflectance confocal microscopy(RCM)로 연구하였음. 상처 유발 후 1~2주차 후에는 stratum basale층에서는 ablation면적의 감소가 일어남. 진피층에서는 레이저로 인한 열손상이 둥글게 나타나는 반면 표피층에서는 keratinocyte의 contracture 등으로 미세상처가 별모양으로 찢기는 양상으로 ablation wound의 면적을 측정함에 있어서 제한점이 있었음. 따라서 반정량적으로 ablation wound를 회복정도를 %로 grading하는 방법으로 상처회복속도를 측정하였음. CO2 fractional laser를 사용한 상처회복 피부모델로 1주일 후 기저층에서의 상처회복정도를 반정량화하여 측정하는 in vivo, less invasive skin model를 확립하였음. 추가로 다른 미세상처로 가정용의료기기로 손상이 적은 TRIA(다이오드프락셔날레이저) 및 반영구문신기인 Dermapen, Iontophoresis massager machine, ultrasonic scrubber를 사용하여 최소한의 표준화된 미세상처 유도가 가능한지를 탐색하였음. 하지만 통증이 너무 심하거나 손상이 너무 미세하여 RCM이미지에 잡히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발견하였음. RCM의 optical clearing agent로 Vaseline, moxifloxacin, zinc, biotin을 사용하여 예비시험을 진행하였고, 그 중 zinc를 사용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으로 관찰할 수 있음을 확인함. 이를 기반으로 민감피부를 대상으로 RCM으로 zinc의 skin penetration정도를 이미지화여 평가하여 피부장벽 기능을 연구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확립하였음.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피부 층별로 역동적인 피부재생과정을 규명함으로 피부의 재생력이 부족한 취약한 피험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치료 물질을 선별하는 데 도움을 주는 기초연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됨. 피부의 상처치유를 촉진하는 물질 (stem cell, stem cell activator), 항노화 물질, 기능성 화장품, 건강기능식품의 효능성 입증 모델로 활용하여 산업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Laser-skin interaction을 통해 의료기기 중 레이저의 인증 및 검증을 위한 표준화된 실험절차 마련하는 데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10001747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