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탄소저감형 BAT 융합기술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와 하수악취 및 부하 동시 저감시스템 개발 ◼ 전체 내용 ❍ 고형물 회수율 70 % 이상 탈수 고형물 회수 배수 전처리시스템 ❍ 탈리액 부하저감 셀프다이장치 및 미생물 최적화 기술 개발 ❍ 센서 기반 배출수질 적정 감시 관리시스템 ❍ 부하동시저감시스템의 현장 테스트 ◼ 1단계[1차년도] ❏ 목표 ❍ 주거 환경 등 다양한 발생원별 음식물쓰레기 특성 조사 ❍ 배수 전처리시스템의 업그레이드 장치 개발 ⦁ 탈수기의 스크린장치 ⦁ 셀프다이 부하저감 시스템 ❏ 내용 ❍ 주거 환경 등 다양한 발생원별 음식물쓰레기 특성 조사 ⦁ 건물 단위 유기성폐자원 처리 및 순환 기술 국내외 자료 조사 ⦁ 주거 시설 및 단지의 규모 등을 고려한 발생 현황 조사 - 공동주택형, 단독주택·상가형, 도시 하수형 등 ⦁ 음식물쓰레기의 발생 특성 및 성상 - 염분, 오염농도, 입도 크기 등 분석 ❍ 공동주거형 음식물쓰레기 배수전처리 및 배출수 저감 시스템 개발 ⦁ 기존 가정에서 사용되는 장치들의 문제점 조사 ⦁ 음식물쓰레기 고형물 회수 및 배출수 처리 장치의 개발 - 분쇄기의 운전 조건에 따른 성상 변화 분석 - 고형물 수거 장치의 입도 크기별 조절에 따른 수거 방안 검토 - 70% 이상 고형물 회수를 위한 분쇄 실험 : 시간, 처리량, 물 사용랑 등 분석 - 회수 고형물의 탈수 실험 : 최적 탈수 성능 분석, 40~70% 수준의 탈수 성능 방안 - 배출수 내 수질 분석 ⇒ SS, T-P, T-N, Cl 등 분석 ⦁ 배수 전처리시스템 ◼ 1단계[2차년도] ❏ 목표 ❍ 주거 환경 등 다양한 발생원별 음식물쓰레기 특성 조사 ❍ 배수 전처리시스템의 업그레이드 장치 개발 ⦁ 탈수기의 스크린장치 개보수 ⦁ 셀프다이 부하저감 시스템 개보수 ⦁ 최적 미생물 선정 ❍ 현장 적용을 위한 테스트베드 대상 선정 ❏ 내용 ❍ 공동주거형 음식물쓰레기 배수전처리 및 배출수 저감 시스템 개보수 ⦁ 음식물쓰레기 고형물 회수 및 배출수 처리 장치 개보수 - 분쇄기의 운전 조건에 따른 성상 변화 분석 - 고형물 수거 장치의 입도 크기별 조절에 따른 수거 방안 검토 - 70% 이상 고형물 회수를 위한 분쇄 실험 : 시간, 처리량, 물 사용랑 등 분석 - 회수 고형물의 탈수 실험 : 최적 탈수 성능 분석, 40~70% 수준의 탈수 성능 방안 - 배출수 내 수질 분석 ⇒ SS, T-P, T-N, Cl 등 분석 ⦁ 배수 전처리시스템 ❍ 현장 적용을 위한 테스트베드 대상 조사 및 선정 ⦁ 일정 규모 이상의 테스트베드 조사 및 선정 ⦁ 주관기관(참여기업), 지자체, 주민협의회 등 협의 ⦁ 기 설치 현장의 경우 적용 장치의 운영 및 유지관리에 대한 기술적 평가 - 주 고장의 원인 분석 - 사용 횟수에 따른 전기료 비용 부담 - 기타 기기적인 상태 분석 및 개선방안 도출 ❍ 테스트베드 선정 ⦁ 테스트베드 현장 상황 파악 ⦁ 테스트베드 현장 선정 ◼ 2단계[3차년도] ❏ 목표 ❍ 하수관거 내 배출수 유입 성상 감시 시스템 개발 및 적용 ❍ 테스트베드 내 현장 적용성 평가 및 개선점 도출 ❍ 소규모지역단위 최적관리기법 제시 ❏ 내용 ❍ 하수관거 내 배출수 유입 성상 감시 시스템 개발 및 적용 ⦁ 하수관로 유입시 발생되는 악취 및 수질오염 농도 측정 센서 설치 ⦁ 악취 및 수질오염 농도 감시 시스템의 개발 및 설치 - 주민 관리사무소, 하수처리 운영기관, 관할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모니터링 - 관거 막힘 현상이나 악취 발생, 하수처리장 부하 저감을 위한 감시시스템 ❍ 테스트베드 내 현장 적용성 평가 및 개선점 도출 ⦁ 옥내 및 하수관거내 상태 변화 평가(유해물질 거동) - 맨홀 내 퇴적 여부 및 하수관거 유속별 관거 퇴적 상황 조사 분석 ⦁ 하수처리장 오염물질 부하량 변동 및 처리능 평가 - 유입 ․ 방류수질, 유입 ․ 방류유량 및 오염 부하량 변화 조사 분석 - 슬러지 발생량 및 성상 변화 조사 분석 - 공공하수도 유지관리비용 및 운영비용 변화 조사(운영 자료로 활용) ⦁ 시스템의 성능 최적화 및 국산화 ⦁ 시스템의 테스트베드 결과를 바탕으로 기술성, 경제성 평가 ⦁ 설치비 및 유지관리 비용 분석 ❍ 소규모 지역단위 최적 관리기법 제시 ⦁ 기존 자원화시설 연계 처리능 평가 - 기술 적용 지역의 최종 처리 처분 시설에 따른 연계 처리를 위한 시나리오 개발 - 사료화, 퇴비화, 바이오 가스화 등 재자원화 가능성 평가 ⦁ 다양한 소규모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최적 시스템 적용 기준을 제시 ⦁ 공동 주거단지 내 도시농업 및 치유 농업 등의 커뮤니티 생성 □ 연구개발성과 ❍ 음식물쓰레기 배수 전처리시스템 시작품 ❍ 셀프다이 부하저감시스템 시작품 ❍ 테스트베드 현장 적용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 ⦁ 음식물쓰레기 처리(분쇄, 건조, 발효 및 이송 등) 장치 - 하수도법 및 폐기물관리법의 기준을 만족하는 장치를 개발하여 제공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 배출자들로 하여금 편리성 향상과 쓰레기 분리 수거에 따른 악취 및 비위 생성 등의 문제 해결 - 공동 주거단지의 음식물쓰레기 수거의 편의성 제공 - 배출 수질 향상을 통한 하수처리장 부하 저감 - 하수처리장 운영관리 및 하수관거 정비사업 지침에 활용 - 향후 공동 주거단지 건설시 지침 및 관리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 음식물쓰레기 부산물의 재활용 - 음식물쓰레기의 효율적 자원화를 통한 유기성 폐기물에 대한 인식 전환 - 폐기물을 이용한 자원 순환이 적용된 주거단지 개발 - 노원도시농업네트워크 등 도시농업팀과 부산물 활용 - 공동 주거단지 내 도시 농업 및 치유 농업 등의 커뮤니티를 생성하여 고부가가치 생산활동에 활용 ❍ 연구개발성과의 기대효과 ⦁ 음식물쓰레기 처리 비용의 절감 - 우리나라에서 연간 발생되는 음식쓰레기는 약 500만톤(1일 약14,000톤)이며 처리비용은 약 1조3천 억원(1톤당 약26만원 기준시 ; 음식물쓰레기 처리비용 증가로 실제 수거+이송+처리 총 비용은 톤당 30-35만원임) - 공동주택 및 의무감량화사업장 발생량 연 380만톤인 76%에 적용시 연간 처리비용만 70% 절감 ⦁ 온실가스 배출량의 감소 - 음식물쓰레기 처리 부분만 약 80% 이산화탄소 절감되며, 76% 적용대상 적용시 약 60% 탄소절감 ➠ 이산화탄소 량으로 연간 400만톤 저감 효과 ⦁ 유기성 폐기물인 음식물쓰레기의 폐자원화 - 음식물쓰레기 염분 0.5% 이하 고형물을 대상으로 퇴비화시 톱밥 등의 사용이 필요없음 - 연료화를 통한 바이오차 및 바이오 가스&오일 등을 활용한 자원의 재활용시에도 효과적 ⦁ 신규 일자리 및 커뮤니티의 창출 - 장치의 제작 및 설치 등 신규 사업의 확산 : 국내 아파트 동 8만개 대상으로 적용시 5만개 이상 시스템 및 감량화 자원화기기 필요함 ➠ 설치기간 10년 기준 5천개 시스템 생산시, 이의 생산을 위한 신규 일자리 창출 약 7,200개, 그리고 이로 인한 수출 경쟁력 강화로 연간 약 4억 달러의 수출 증대로 약 7,8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되어 연간 총 15,0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됨 ※ 현재 처리방식에 의한 중간처리업체 종사자 총 1,200여명 중 약 500명의 인원 감소 예상 - 시스템 유지인력 및 공동 주거단지 내에 농업활동 등의 생산성 커뮤니티 창출 : 청소/배출을 돕는 part time 일용직을 고용한다면 Apt용으로도 약 3,000개의 추가 신규 일자리가 창출됨 : 도시농업 100여개, 치유농업 3천농가 대상 퇴비생산 및 제품공급 등으로 500여개 일자리 창출 (출처 : 요약문 4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