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1. 분석자서문 신체의 외부에 부착하는 비침습 방식으로 각 개인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 함으로서 질병을 조기 발견하고 더 나아가 질병 발생으로의 경로를 사전에 차단하는 기술이 차세대 의학의 한 분야로서 최근 주목 받으면서, 전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자들이 이와 관련된 분야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분석자료[1]에서 다룬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기술과 관련하여, 착용 가능한 센서 및 전자소자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을 폭넓게 제시 및 분석하고 있다. 본 자료에서 제시하는 연구동향은 국내의 인체 진단용 센서 및 착용형 기기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목차 1. 개요 및 기술적 배경 2. 소형 및 웨어러블 센서용 감지 기술의 분류 3. 체액 바이오마커 및 센서 3.1 체액 바이오마커 3.2 바이오마커 센싱 기술 4. In-Situ 소화 시스템 분석 기법 및 삼킬 수 있는 센서 5. 요약 및 전망 References [1] A. Tricoli, N. Nasiri, S. DE, Wearable and Miniaturized Sensor Technologies for Personalized and Preventive Medicine.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2017, 27.15. [2] OECD, Life Expectancy at Birth, https://data.oecd.org/healthstat/ life-expectancy-at-birth.htm (accessed: October 2016). [3] a) J. Takacs, C. L. Pollock, J. R. Guenther, M. Bahar, C. Napier, M. A. Hunt, J. Sci. Med. Sport 2014, 17, 496; b) K. M. Diaz, D. J. Krupka, M. J. Chang, J. Peacock, Y. Ma, J. Goldsmith, J. E. Schwartz, K. W. Davidson, Int. J. Cardiol. 2015, 185, 138. [4] a) R. M. Gelfand, D. Dey, J. Kohoutek, A. Bonakdar, S. C. Hur, D. Di Carlo, H. Mohseni, Opt. Photonics News 2011, 22, 32; b) J. T. Kirk, G. E. Fridley, J. W. Chamberlain, E. D. Christensen, M. Hochberg, D. M. Ratner, Lab Chip 2011, 11, 1372. [5] a) A. D. Association, Diabetes Care 2014, 37, S81; b) A. D. Association, P. R. Health Sci. J. 2013, 20, 175. [6] a) A. Manolis, Clin. Chem. 1983, 29, 5; b) W. Miekisch, J. K. Schubert, G. F. Noeldge-Schomburg, Clin. Chim. Acta 2004, 347, 25; c) M. Righettoni, A. Amann, S. E. Pratsinis, Mater. Today 2015, 18, 163. [7] B. Schazmann, D. Morris, C. Slater, S. Beirne, C. Fay, R. Reuveny, N. Moyna, D. Diamond, Anal. Methods 2010, 2, 342. [8] a) E. Emmett, Ann. Clin. Lab. Sci. 1978, 8, 270; b) G. Liu, C. Ho, N. Slappey, Z. Zhou, S. E. Snelgrove, M. Brown, A. Grabinski, X. Guo, Y. Chen, K. Miller, J. Edwards, T. Kaya, Sens. Actuators, B 2016, 227, 35. [9] M. X. Chu, K. Miyajima, D. Takahashi, T. Arakawa, K. Sano, S.-i. Sawada, H. Kudo, Y. Iwasaki, K. Akiyoshi, M. Mochizuki, K. Mitsubayashi, Talanta 2011, 83, 960. [10] H. Yao, A. J. Shum, M. Cowan, I. LAhdesmAki, B. A. Parviz, Biosens. Bioelectron. 2011, 26, 3290; ※ 이 자료의 분석은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유승남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