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담수에서의 미세플라스틱 : 발생, 환경영향, 분석 방법에 대한 총론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8-05-24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이인규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분석자 서문 플라스틱 사용의 증가와 부적절한 관리로 인하여 해수와 담수로 유입되는 플라스틱의 양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 중 크기가 5mm 이하인 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s)은 인간과 수중 동물에게 물리적인 위해와 독성물질에 의한 생물학적 위해를 유발하기 때문에 새로운 수질오염물질로 간주되고 있다.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수중에 존재하는 미세플라스틱의 농도와 분포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시료 채취, 분리, 정제 등의 전처리 과정을 거쳐 다양한 기기를 이용하여 분류와 정량분석을 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서로 다른 시료 채취, 분석 방법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결과가 서로 상이하여 이들의 결과를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향후 미세플라스틱의 규제를 위해 우선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시료 채취, 전처리, 분석 방법에 대한 표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분석에서는 현재 이용되고 있는 방법들에 대해 검토하였고 이를 통해 향후 필요한 연구 분야를 제시하였다. 본 분석물은 미세플라스틱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들과 이 분야를 처음 접해본 연구자들에게도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2. 목차 1. 서론 2. 담수에서의 미세플라스틱 2.1. 발생 2.2. 환경적 영향 3. 미세플라스틱 시료 채취 방법 4. 시료 추출과 정제 5. 미세플라스틱의 분류와 정량 6. 분석 방법에 대한 제안 7. 분석자 결론 미세플라스틱은 합성폴리머와 중금속 등의 오염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비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미세플라스틱 표면에 많은 양의 다양한 오염물질이 흡착된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의 직접적인 섭취와 영양 단계를 통한 간접적 섭취를 통해 인간의 신체 내에서 다양한 물리, 화학, 생물학적 반응을 통해 분해되면서 미세플라스틱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이 배출되는데, 본 분석에서도 살펴보았듯이 이때 발암과 내분비계 장애를 유발하는 물질들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위해 가능성으로 인하여 미세플라스틱은 새로운 오염물질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의 시료 채취와 분석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표준화되거나 공개된 분석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최근 폐기물처리 문제로 인하여 환경부에서는 플라스틱의 사용을 제한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편리성과 기능성으로 인하여 플라스틱의 사용량은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문제가 더 심각해지기 전에 해수와 담수에 존재하는 미세플라스틱의 시료 채취와 분석 방법을 제정하고 분포를 파악하여 이의 처리 방안까지 수립하고자 노력해야 한다. References 1. Jingyi Li, Huihui Liu, J. Paul Chen, MICROPLASTICS IN FRESHWATER SYSTEMS: A REVIEW ON OCCURRENCE, ENVIRONMENTAL EFFECTS, AND METHODS FOR MICROPLASTICS DETECTION, Water Research, Vol. 137, 2017. 2. S.A. Mason, D. Garneau, R. Sutton, Y. Chu, K. Ehmann, J. Barnes, P. Fink, D. Papazissimos, D.L. Rogers, MICROPLASTIC POLLUTION IS WIDELY DETECTED IN US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EFFLUENT, Environmental Pollution, Vol. 218, 2016. 3. C.M. Rochman, S.M. Kross, J.B. Armstrong, M.T. Bogan, E.S. Darling, S.J. Green, A.R. Smyth, D. Verissimo, SCIENTIFIC EVIDENCE SUPPORTS A BAN ON MICROBEADS, ACS Publication, 2015. 4. Orb in C. Tyree, D. Morrison, INVISIBLE-THE PARTICLES INSIDE US, 2017. ※ 이 자료의 분석은 서울시립대학교의 이인규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095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