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벼 페놀/아민계 방어 물질 생합성 대사 유전자 패밀리의 기능 규명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2-03-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경희대학교
연구책임자 조만호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연구개요 - 파이토알렉신은 식물이 병원균의 감염에 대항해 생산하는 항균 활성 물질로서 식물의 병 저항성 및 비생물학적 스트레스 저항성에 복합적으로 기여한다. - 하지만 벼가 주곡임에도 불구하고 벼의 페놀/아민계 파이토알렉신 대사 관련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진한 실정이다. - 벼 페놀/아민계 파이토알렉신 생합성 대사의 핵심 효소인 OsNACT 및 OsCHI 유전자 패밀리의 생화학적/생리적 기능을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벼 OsCHI 패밀리 유전자 7개를 확보하고 발현 벡터를 제작하였음. In silico 분석을 통하여 OsCHI3를 catalytic CHI인 타입 I으로, OsCHI1, OsCHI2, OsCHI4, OsCHI5는 타입 III로, OsCHI6, OsCHI7은 타입 IV로 분류하였음. - OsCHI 단백질을 대장균에서 발현하고 분리정제하였음. 재조합 단백질의 촉매 활성 분석을 통하여 OsCHI 패밀리 중 OsCHI3가 벼의 bona fide CHI임을 규명하였음. OsCHI3는 naringenin chalcone에 대한 촉매 효율이 isoliquiritigenin에 대한 효율보다 월등히 높은 타입 I CHI의 특성을 가짐을 규명하였음. - OsCHI 유전자는 대부분 항시 발현되는 양상을 보였음. OsCHI3 유전자는 벼 잎에서 주로 발현되었으며, 자외선 스트레스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었음. 이 결과를 종합하여 OsCHI 패밀리 중 OsCHI3가 벼 잎에서 자외선 스트레스에 의한 sakuranetin 생합성을 담당함을 밝혔음. - OsNACT 패밀리 8개 중 현저하게 ORF 길이가 짧은 OsNACT5를 제외한 7개의 OsNACT 유전자를 확보하고 발현 벡터를 제작하였음. - OsNACT 단백질을 대장균에서 발현하고 분리정제하였음. OsNACT 단백질의 촉매 활성 분석을 통하여 OsNACT3, OsNACT6, OsNACT7이 생화학적으로 NACT 활성을 가짐을 규명하였음. - Kinetic analysis를 통하여 OsNACT6가 phenyl donor에 대한 기질 친화도가 가장 높으며, 촉매 효율은 OsNACT3가 가장 높음을 규명하였음. - OsNACT6 유전자는 벼 잎에서 주로 발현되었으며, 자외선 스트레스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었음. NACT 활성 및 자외선 유도 발현 결과로부터 OsNACT6가 벼 잎에서 자외선 스트레스에 의한 페닐아마이드 파이토알렉신 생합성을 주로 담당함을 규명하였음. - 뿌리에서 주로 발현되며 NACT 활성을 가진 OsNACT3 및 OsNACT7은 타감물질 생합성에 관련된 기능을 담당할 것으로 판단하였음. - oschi2-1, oschi4-1, oschi4-2, oschi5-1과 osnact1-1, osnact5-2, osnact7-3 순종 돌연변이 라인을 확보하고 페놀 대사물질을 분석하였음.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벼 페놀/아민계 방어 물질 생합성 관련 OsCHI 및 OsNACT 유전자 패밀리의 기능을 규명함으로써 벼 스트레스 저항성 연구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데 기여하였음. - 페놀/아민 방어 물질은 식물의 스트레스 저항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으로 본 연구에서 확보한 OsCHI 및 OsNACT 유전자는 스트레스 저항성 벼 품종 개발을 위한 대사 재설계에 활용 가능함. - 파이토알렉신 생합성 유전자를 이용한 신규 생리활성 페놀/아민 화합물의 생명공학적 생산기술 개발과 이를 통한 유용 생리활성 소재의 개발 및 산업적 활용이 가능함. (출처 :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20001358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