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제1장 서론 1.1 연구 개요 1.1.1 연구 배경 도로는 안전성 및 경제성 등의 측면에서 유지관리가 소홀할 경우 교통사고 등 인명 피해 및 행정·재정적 낭비를 초래할 수 있는 국민의 안전과 편의에 직결되는 시설물이다. 그 중 옹벽시설물의 경우「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의한 2종 시설물' 은 정기적 점검 및 유지관리를 체계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나, 종외 옹벽시설물의 경우에는 그 현황조차 파악이 어려우며 특히 점검 및 보수·보강 등 안전관리를 실시하는 컨트 롤타워가 없는 실정이다. * 2종 시설물 : 지면으로부터 노출된 높이가 5m 이상인 부분의 합이 100m 이상인 옹벽 한편 현재의 2종 시설물 산정방식은 시설물의 중요도 및 성격이 고려되지 않은 단순 규모에만 의한 것으로, 도로에 설치된 종외 시설물이 2종 시설물보다 위험도가 낮다거 나 붕괴시 인명피해 규모 등의 손실이 적다고 보장 할 수 없다. 또한 시설물 노후화, 안전불감증 및 위기관리 소홀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이 빈번함에 따라 옹벽 구조물의 안전관리를 총괄하고, 관리할 수 있는 통합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환경적 측면에서 보았을 때 옹벽구조물은 배면 지하수위 증가, 배수구 및 콘크리트 열화에 따른 노후화로 붕괴 위험성이 상존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의 이상기후에 따른 게릴라성 폭우·태풍 등에 의한 갑작스런 강우량 증가로 옹벽구조물의 붕괴발생 가능성 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또한 종외 옹벽시설물 사고사례 등은 운영관리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아 자료가 없는 상태로, 옹벽시설물 붕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현 상황에서 도로 옹벽구조물 안전관리를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출처 : 본문 서론 23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