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기반 식물자원 디지털염기서열 분석 연구-적색목록‧멸종위기종 보전/관리를 위한 집단유전학 연구-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1-11-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림대학교
연구책임자 김영동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5. 연구결과 및 고찰 1) 끈끈이주걱(Drosera rotundifolia L.) · 유전적 변이 수준(He)은 강원도 강릉 보광리 집단을 제외하고는 거의 유사하였음 · 집단 대부분에서 클론이 발견되지 않고 전남 일부(3개체)집단의 일부 개체만이 클론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남한의 끈끈이주걱 집단이 주로 유성생식에 의해 형성되었음을 의미함 · PCA, UPGMA, DAPC Structure 분석 결과는 우리나라 집단을 크게 4개의 유전적 그룹(전라남도 집단, 울산 집단, 용늪 집단, 강릉집단)으로 구분하였음 · 전라남도 그룹과 울산 그룹에서 각 그룹 내 집단 간 유전자 이동이 빈번하였을 것으로 추정 · 현지외(ex-situ) 보전을 위해서는 위 4개의 유전적 그룹을 보전단위(conservation unit)로 고려하여 복원 계획을 수립할 것을 제안함 2) 승마(Actaea heracleifolia (Kom.) J. Compton var. heracleifolia ) · 승마는 분포가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경기 및 충남 서해안에 산발적인 소집단이 잔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음 · 조사 집단 내 높은 유전적 다양도는 이계교배 유성생식의 결과로 보이며, 집단 간 매우 낮은 유전적 분화도는 폭넓게 분포하던 집단이 최근에 소집단으로 파편화(fragmentation)된 결과로 추정됨 · AMOVA, UPGMA, STRUCTURE 분석에서 승마 집단과 세잎승마 간에는 유전적 구조 차이가 관측되었으나 FST값은 종 수준의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음 · 화기(승마 10월, 세잎승마 9월)와 지리적 분포 및 생육환경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 두 변종 분류군은 비교적 최근에 분화를 시작한 것으로 추정됨 · 승마 개체군은 대부분 훼손 위협이 매우 컸으며 상세한 조사를 통해 자생지 추가 발굴과 기존 자생지 및 종보전을 위한 대책 수립이 필요함 3) 애기앉은부채(Symplocarpus nipponicus Makino) · 본 연구를 통해 생성한 GBS 데이터는 앉은부채와 애기앉은부채 집단의 유전적 구조 및 유전자 교류 정보파악에 매우 유용하였음 · 애기앉은부채와 앉은부채는 모든 분석에서 뚜렷하게 구분되었고 각각의 고유한 유전형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오래전에 두 종이 분화햇을 가능성을 제시 · 애기앉은부채 집단 내에 높은 유전적 다양성이 존재하고 집단 간의 분화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집단이 분화된 이후에 극히 제한된 gene flow 만이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 · 애기앉은부채의 전북 순창 집단의 경우 다른 애기앉은부채 집단과의 분화 정도가 두 종간의 분화도에 상응할 만큼 매우 컸으며 집단 규모가 비교적 작았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유전적 다양성을 보인 결과로 볼 때 전북 순창 집단은 오래 전 분화가 일어났으며 유전자 흐름이 제한적이어서 유전적으로 다른 집단과는 고립됨 · 집단 특이적인 유전형을 갖는 애기앉은부채의 경우 가능하면 많은 수의 집단이 포함될 수 있도록 계획하여 보전 관리방안을 모색해야 함 4) 줄댕강나무(Zabelia tyaihyonii (T. H. Chung ex Nakai) Hisauti & H. Hara) · 본 연구에서 분석된 줄댕강나무의 GBS 데이터는 우리나라 고유종 중에서도 극히 제한된 지역에 분포하여 절멸 위험이 높은 줄댕강나무의 체계적인 보전대책을 수립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음 · 줄댕강나무는 제한적인 분포역을 보이며 소집단을 이루고 있는 특성을 고려할 때 비교적 높은 유전다양성을 보임 · 일부 집단을 제외하면 집단 간 유전자료류는 거의 없는 것으로 추정됨 · 줄댕강나무 집단간의 유전적 단절에 대한 원인 규명을 위해서는 수분매개곤충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함 · 남방한계로 추정되는 충북 제천 집단은 유전다양성이 가장 낮고 유전적으로 완전히 고립된 결과를 보여 개체군의 건강성을 회복할 수 있는 조치가 필요함 · 기존 연구에서 줄댕강나무는 강원도 영월군 남면 북쌍리와 충북 단양군 매포읍 영천리에서부터 주변지역으로 확산한 것으로 추정하였으나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확산의 중심은 북쌍리로 추정됨 5) 한라개승마(Aruncus aethusifolius (H. Lev.) Nakai)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내의 고위도 한라개승마 개체들은 유전자 흐름에 장벽이 없어 하나의 큰 집단을 형성하고 있음이 밝혀졌음 · GBS 기법을 활용한 SNP 데이터는 한라개승마와 눈개승마를 구분하는데 매우 유용하였으며 고유종 판별 정밀분자마커로 활용 가능함 · 한라개승마는 제주도 저위도 집단(남원), 한라산 고위도 집단(백록담, 영실)으로 유전적 분화가 일어났음을 확인 · 제주도 저위도 집단(남원)의 한라개승마는 잎의 크기가 매우 다른 개체들이 집단을 이루며 함께 생육하고 있으나 각 형태유형별로 고유한 유전적 구조를 지님 · 한라개승마와 눈개승마의 잡종이라고 추정했던 큰 형태 유형의 한라개승마는 일반적인 한라개승마와 더 가까운 유연관계를 보임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내의 고위도 한라개승마 개체들은 유전자 흐름에 장벽이 없어 하나의 큰 집단을 형성하고 있음이 밝혀졌음 ·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내의 한라개승마 집단과 유사한 분포를 보이는 종의 유전적 다양성에 대한 일반화에 앞선 사례를 제공함 6) 황근(Hibiscus hamabo Siebold & Zucc.) · 국내 자생지를 기초로 복원된 황근 개체군들의 유전 다양성은 상당히 높게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음 · 복원 사업의 다양성은 실제 황근의 유전 다양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식재된 개체들의 적응은 장기간 모니터링을 통해 건강성을 파악해야 함 · 본 연구에 사용된 국내 개체군 샘플로는 주변 국가나 지역의 자생 황근과의 연관성 및 실제 기원을 확인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주변 국가의 추가 샘플링이 필요함 · 본 연구를 통해 황근의 유전정보와 분화 과정 등을 기초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보존 및 복원 집단 평가의 학술적 기반과 복원 이후 집단의 유전적 교류에 관한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었음 · 집단유전학적 연구를 근거로 근접 국가들과 복원사업 및 원예, 품종 개발 사업의 국제적 공동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음 (출처 : 요약문 6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20000769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