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연구는 환경․수문․생태적 관점에서 황사 발생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인공위성 토양수분 자료를 바탕으로 황사발생의 연관성 및 과거 황사발생시 토양수분에 따른 황사빈도 및 강도의 경향성을 수치로 증명하여, 황사 예·특보 시스템 개선 및 황사 위성탐지기술 향상에 기여하는 것임. 또한, 국내 정지궤도 위성인 천리안 위성(COMS)를 이용하여 강우량을 산정하고 강수와 황사 발생간의 상관관계를 통해 황사 발생 메커니즘의 정확성을 높이고자 하였음. 정확한 분석을 위해 Aqua의 MODIS 및 GLDAS 모델 데이터를 활용하였음. 1차년도에는 국내외에서 진행된 황사 발생에 관련된 연구동향을 조사하고 환경․수문․생태적 관점에서의 황사 발생 메커니즘을 분석하였음. 이에 따라 1978년 이후의 한반도에 영향을 미친 연도별 황사빈도 및 진행 특성, 강도, 피해규모 등에 대한 선행연구 및 자료획득을 실시함. 2차년도에는 기 개발된 황사 발생 메커니즘을 토대로 수문기상 인자 기반의 황사 발생 메커니즘을 정립하였음. 3차년도에는 동북아시아 지역에서의 인공위성 토양수분 데이터에 대한 검증을 목적으로 하며, 현재 유럽우주국(ESA)에서 연구프로젝트로 진행중인 ECV(Essential Climate Variable) 및 Metop-A 인공위성 토양수분과 실측 토양수분 및 모델링 데이터와의 비교검증을 통해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였음. 또한 국가기상위성센터에서 제공하는 천리안 위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북아시아 지역에서의 강우 분포 공간지도를 작성하고 강우 발생을 공간적으로 분석하였음. 연구개발결과 총 22편의 SCI급 논문이 투고되어 황사발생과 관련된 양질의 연구 결과를 입증하였음. 특히 상위 6%급의(IF:4.46) Geophysical Research Letters(GRL)지에 위성 및 모델을 이용한 토양수분과 황사 발생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논문이 게재되었음. 이 논문은 최근 동아시아 지역의 토양수분을 황사와 연계시켰다는 것에서 의미가 있는 논문이며 그 창의성도 인정받음. 또한 상위 3%급의(IF: 6.4)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RSE)지에 토양수분 관측 위성 에러 패턴 분석 및 자연재해 적용가능성을 검토한 논문이 게재되었음. 이 논문은 토양수분과 황사와의 연계를 통한 모델 구축에 있어서 고려되는 위성 토양수분 자료의 건조 지역에서의 시공간적 에러 패턴을 분석하여 향후 황사의 발원지를 포함하는 건조지역의 위성 데이터 활용 가능성을 높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음. 그 외 Advance in Space Research (ASR) 지에 COMS 위성 기반의 강우 자료를 이용하여 공간지도 표출 및 타 강우 자료와의 비교분석을 수행한 논문이 게재되었고, Advances in Meteorology (AM)지에 다국적 토양수분 위성 자료를 활용하여 중국발 황사 발생지역을 예측한 논문이 게재되어 연구 주제 및 연차별 목적에 실질적으로 부합되는 논문 결과들을 통해 단계별 연구 목표를 모두 달성하였음. (출처 : 요약서 3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