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중국 바이오 연료 동향과 앞으로 나아갈 방향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7-11-14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김영재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분석자 서문 바이오 연료는 교통 분야의 에너지 및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망한 해결책으로 손꼽힌다. 중국도 예외는 아니지만 여러 가지 기술적 및 정책적 장애 요인들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 연구 논문은 현재 중국의 바이오 연료 산업에 대한 현황 및 정책적 함의에 대해서 요약 정리해보고자 한다. 중국의 바이오 연료 잠재량은 상당한 편이며, 중국은 이에 대한 준비 또한 차근차근 해오고 있다. 하지만 바이오 연료에 대한 가격 지원 정책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며 그마저도 없어지고 있다. 이에 대한 보완과 함께 아직까지는 시장성이 부족한 바이오 연료에 대한 지원이 꾸준히 지속된다면 중국의 바이오 연료에 대한 미래는 긍정적이라고 볼 수 있다.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해답은 될 수 없지만, 전기자동차 시대로 넘어가기 전 과도기 시점의 탄력적 기후변화 대응책으로는 적절하다고 할 수 있겠다. 2. 목차 1. 서론 2. 중국 바이오 연료 동향 3. 중국의 바이오 연료 잠재량 4. 바이오 연료 정책 5. 장애 요인과 기회 6. 정책적 제언 7. 결론 바이오 연료에 대한 중국의 전망은 꽤 밝은 편이다. 위와 같은 몇 가지 정책들이 뒷받침된다면 온실가스 감축 및 대기오염을 줄이는 데 더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바이오 연료가 친환경적인가에 대한 논의는 항상 논쟁의 대상이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내연기관보다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은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기존의 화석연료 바탕의 내연기관 중심의 자동차 산업에서 벗어나지 않는 이상 아무리 바이오 연료를 육성한다고 해도 바이오 연료의 명암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는 없다. 오히려 전기자동차 시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적절한 기술이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References 1. CAAM. China automotive industry yearbook 2000 minus;2014. Beijing: China Association of Automobile Manufacturers; 2015. 2. Lu L, Zhou J. A review of environmental assessments on liquid biofuels in China. Energy Procedia 2014;61:2105 ndash;8. 3. Chen W, Wu F, Zhang J. Potential production of non-food biofuels in China. Renew Energy 2016;85:939 ndash;44. 4. Han Hao, Zongwei Liu, Fuquan Zhao, Jingzheng Ren, Shiyan Chang, Ke Rong. Biofuel for vehicle use in China: Current status, future potential and policy implications. 2018.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82, 645-653. 5. COFCO. COFCO Biochemical Alcohol Corporation; 2015. ?http://www.zlahsh.com/ fyrljj.htm?, Accessed Oct. 6. Chang S, Zhao L, Zhang T, Zhang X. Liquid biofuels. Sustainable automotive energy system in China. Beijing: Science Press; 2012. 7. MOF. Notification on the taxation policy for fuel ethanol producers. Ministry of Finance; 2005. 8. MOF. Notification on further adjusting the subsidy policy for fuel ethanol production. Ministry of Finance; 2014. ※ 이 자료의 분석은 틴들기후변화연구소 선임연구원의 김영재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076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