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굴업도·덕적도·백아도·선갑도 지질조사 보고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6-1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 서언 굴업도·덕적도·백아도·선갑도도폭(축적 1: 50,000) 조사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미래창조과학부 출연사업인 '지질도폭 조사연구'의 일환으로 2015년부터 2016년까지 2년간 수행되었다.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발간한 축적 1:50,000 지형도를 기준으로 굴업도·덕적도·백아도·선갑도도폭은 선미(도엽번호 NJ 52-7-17), 덕적(도엽번호 NJ 52-7-25), 백아(도엽번호 NJ 51-9-32) 에 해당하는 도서 지역이다. 동경좌표 기준으로 굴업도·덕적도도폭은 N37˚10'00'~N37˚20'OO'와 E125˚45'OO'~E126˚15'OO', 백아도·선갑도도폭은 N37˚00'00' ~ N37˚10'00' 와 E125˚45'00' ~ E126˚15'00' 범위이다. 행정구역으로 굴업도·덕적도·백아도·선갑도도폭 구역에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전체와 자월면에 속하는 소이작도, 대이작도의 일부와 선갑도가 포함된다(그림 1-1). 덕적면에 해당하는 덕적군도에는 덕적도를 모도(母島)로 41개의 유,무인도가 분포하고 있으며, 유인도는 덕적도를 비롯해 소야도(蘇爺島), 문갑도(文甲島), 백아도(百牙島), 울도(蔚島), 굴업도(掘業島), 지도(池島) 등 7개뿐이다. 굴업도·덕적도·백아도·선갑도도폭에 인접한 1:50,000 기발간 도폭은 대산·이곡도폭(김동학과 황재하 1982) 이 전부이며, 덕적도도폭 동부의 영홍도도폭, 선갑도도폭 동부의 풍도도폭은 굴업도·덕적도·백아도·선갑도도폭과 같은 시기에 지질조사가 이루어져 동시에 발간되었다. 선행연구로서 1:1,000,000 한국지질도(최위찬 외, 1995) 에서는 선미도와 덕적도의 북동부는 트라이아스기-쥬라기에 걸친 대동계층으로, 덕적도의 남서부와 문갑도는 쥬라기 화강암으로 표시되었고, 굴업도 및 이남의 도서들은 후기 백악기 화산암층으로 표시되었다. 박기화 외 (2000)는 백아도도폭 구역의 섬들이 각력층이 협제하는 백악기 용결응회암으로 단조롭게 구성되었다고 기재한 바 있다. 이후 덕적도도폭 구역에 대해서 몇 편의 후속 연구가 수행되어 이 지역의 지질에 대한 새로운 정보가 알려지게 되었다. Cho et al. (2008)은 저어콘의 SHRIMP U-Pb 연대측정을 통해 대이작도에 분포하는 혼성암(migmatite) 이 후기 시생대(약 25억년 전)에 생성된 것으로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암석이라 하였다. Lee and Cho (2013)는 그 혼성암의 상세한 야외산상과 용융작용에 대한 변성암석학-지화학 연구를 수행하였다- 덕적도에 대해서는 엄현우 외 (2013)가 암상과 지질을 기술하였고, Kim et al. (2014)는 덕적도의 “저변성 퇴적암”과 이를 관입하는 화강암의 SHRIMP U-Pb 저어콘 연대자료를 근거로 퇴적층의 퇴적 시기를 후조산운동의 트라이아스기로 제한하였다. 굴업도·선갑도도폭 구역에 대해서는 수려한 지형경관과 관련하여 지형학적 연구들이 선행되었다. 환경부(2002)는 선갑도의 주상절리 및 해안 침식지형 등의 관광자원 및 자연학습장으로서의 가치를 높게 평가한 바 있다. 박종관(2009)은 굴업도의 지질을 간략히 소개하면서 해안퇴적 및 침식지형을 경관적으로 고찰하고 남부의 해식와가 국내 최대 규모임을 강조하였다. 김태석 외 (2012)는 굴업도의 지형경관자원을 제안하고 지형구를 구분하였다. 굴업도·덕적도·백아도 선갑도도폭 발간을 위한 야외 조사는 국토지리 정보원이 발간한 축적 1:25,000 지형도(선미, 굴업, 문갑, 덕적, 백아, 선갑)를 기본도로 하여 지표면에 노출된 암체들의 특성을 관찰하여 분류· 추적하고, 이들의 산상과 그 내부에 발달한 광물 조직 및 구조 요소를 기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암석의 구성광물 및 조직의 특성과 형성시기를 세밀하게 규명하기 위해 암체별로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박편제작 및 관찰, 기기분석 (SHRIMP 및 LA-ICP-MS U-Pb 저어콘 연대측정, XRF 전암지화학)을 통한 실내 연구룰 수행하였다. (출처 : 본문 1. 서언 p.7)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70000665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