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심장에서 자가포식작용의 역할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8-06-12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정선민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분석자 서문 자가포식작용은 세포질 물질이 세포 내에서 분해되는 진화적으로 잘 보존된 기작이다. 자가포식작용은 또한 심장의 항상성과 기능 유지를 조절하는 주요 조절자이며, 평소에는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유지시키고, 스트레스 상황에서 활성화된다. 심장허혈 상황에서는 이로 인한 심장의 손상을 줄여주며, 압력 과부하에 대해 심장이 적응하여 버틸 수 있게도 해준다. 자가포식작용의 손상은 당뇨병의 진행이나 노화에 따른 심장의 기능이상과 연관이 있다. 자가포식작용의 기능이상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심장의 기능이상을 불러오지만, 과도한 자가포식작용은 상황에 따라 해롭게 작용하기도 한다. 이 리뷰에서는 최근까지 알려진 심장에서의 자가포식작용과 미토파지의 역할 및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역할에 대해 논하고 있다[1]. 2. 목차 1. 개요 2. 자가포식작용의 이해 2.1. 자가포식작용의 기작 2.2. 자가포식작용의 기능 2.3. 자가포식작용의 세포신호 기작 3. 미토콘드리아 품질관리 3.1. 미토콘드리아성 역학 3.2. 미토파지 4. 심장에서의 자가포식작용의 역할 4.1. 노화에서의 자가포식작용 4.2. 심장허혈 및 재관류에서의 자가포식작용 4.3. 심부전증에서의 자가포식작용 4.4. 유전성 심근증에서의 자가포식작용 4.5. 당뇨성 심근증에서의 자가포식작용 4.6. 독소루비신 유발성 심근증에서의 자가포식작용 5. 자가포식작용의 조절을 통한 임상적 접근 6. 결론 자가포식작용의 조절을 통해 얻은 동물모델에서의 연구 사례는 심장질환 치료 개발에 있어 촉망되는 방법이다.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나 자가포식작용이 활성화되거나 저해되는 적절한 조건과 기능적인 중요성을 증명하는 데 있어 아직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기능적인 중요성은 다양한 분자적 물질을 이용하여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자가포식작용이 심장에서 세포사멸을 유도할 수 있는지 여부도 더 알아봐야 한다. 이미 많은 사례에서 자가포식작용이 심근세포를 죽인다는 보고가 있다[5]. 허혈, 재관류, 심근경색, 압력 과부하 등의 상황에서 autosis에 의한 것이든 아니든, 세포사멸을 연구하는 것 역시 흥미로울 것이다. 심근세포 외의 다른 세포에서의 자가포식작용은 아직 잘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심장 섬유세포나 내피세포, 면역세포 등에서의 역할 역시 더 연구되어야 한다. 만일 자가포식작용과 미토파지가 별개의 기작으로 작동하는 것이라면 그들의 활성이 서로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도 아직 밝혀야 할 부분이다. 마지막으로 사람의 자가포식작용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실제 치료 환자의 심장에서 자가포식작용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 기본이 될 것이다. References 1. Sciarretta S, Maejima Y, Zablocki D, Sadoshima J., The Role of Autophagy in the Heart., Annu Rev Physiol. 2018 Feb. 2. Ravikumar B, Sarkar S, Davies JE, Futter M, Garcia-Arencibia M, et al. Regulation of mammalian autophagy in physiology and pathophysiology. Physiol. Rev. 2010. 3. Liu Y, Shoji-Kawata S, Sumpter RM Jr., Wei Y, Ginet V, et al. Autosis is a Na+, K+-ATPaseregulated form of cell death triggered by autophagy-inducing peptides, starvation, and hypoxia-ischemia. PNAS, 2013. 4. Hammerling BC, Najor RH, Cortez MQ, Shires SE, Leon LJ, et al. A Rab5 endosomal pathway mediates Parkin-dependent mitochondrial clearance. Nat. Commun., 2017. 5. Kroemer G. Autophagy: a druggable process that is deregulated in aging and human disease. J. Clin. Investig. 2015. ※ 이 자료의 분석은 서울대학교의 정선민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096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