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개발결과 요약 최종(연차)목표 ○ 제4기 지층 기재 및 분류 기술, 표층 층서 설정 기술 (2년차 65% 달성) - 제4기 지층 분포 파악, 분류유형 설정 및 암층서/시층서 설정 ○ cross-section 기반의 충적층 3D 모델링 작성 - 지질정보 추출 및 중첩 기술 개발, 충적층 3D 모델링 개발 ○ 한반도 중서부의 제4기 (선사/역사시대) 인간과 자연의 상호 반응 추적 - 선사, 역사 시대의 인간간섭 추적 (벽골제, 능제, 요교호 등) 개발내용 및 결과 ○ 시추공 70개 등 108개 시추공 정보 확보 ○ 정밀 지표 지형조사 완료 (서천,군산,정읍,부안,한산 1:5만 지형도) ○ domian 및 profile type 초안 제시 ○ 도심지질도 작성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완료 (전주 혁신도시) ○ 선현세-현세 고토양층의 퇴적기작 해석 ○ 연대측정 정밀도 향상 (C-14, OSL, Cs-137, Pb-210) ○ 기후 모델링을 위한 제4기 환경 자료 선별 축적 ○ 역사시대 인위적 호소 퇴적물 (벽골제, 능제, 요교호) 이동 추적 ○ 금강 구석기 유적지 (만수리, 소로리, 노산리) 일대의 지층 분석 기대효과 ○ 관측 기록으로는 알 수 없는 과거 수천-수만년 동안의 자연환경 현상 복원을 시도함으로써 한반도 지형, 지질, 식생 변천사 확립에 기여함 ○ 온난화에 따라 한반도에서 어떠한 지표 환경변화가 일어날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앞으로의 환경변화 예측에 기여함 ○ 제4기 층서 정립과 퇴적층 연구를 위한 첨단 연구기반을 확보하고, 제4기와 관련한 지질학, 지형학, 고고학 등 학제간 연계 강화에 기여함 적용분야 ○ 사회간접자본 (SOC) 확충에 따른 건설재료원 확보, 충적층의 수문관리 및 농지활용, 사면불안정 및 해안침식 등 지질재해 경감 정보제공, 저습지 복원과 활용성 제고, 비금속 산업원료 산지 확보, 고고문화유산 발굴을 위한 퇴적층 정보 제공, 연약지반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지질정보 제공 등에 활용 가능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