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1. 서언 욕지도 · 연화도 · 매물도도폭(축적 1:50,000) 지질조사 사업은 2015년부터 시작하여2016년까지 2년간에 걸쳐 미래창조과학부 출연과제의 위탁연구로 수행되었다. 욕지도 · 연화도 · 매물도도폭은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발간한 축척 1:50,000의 두미도엽(도엽번호 NI 52-5-09), 욕지도엽(도엽번호 NI 52-5-10)와 매물도엽(도엽번호 NI 52-5-11)의 남쪽 2/3 부분에 해당 지역으로서 경도 128˚30'00'~128˚45'00', 북위 34˚30'00'~34˚40'00' 내에 위치한다(Bessel 좌표계 기준). 행정구역상으로 조사지역은 대부분 통영시에 해당하며, 남해군 상주면 세존도가 욕지도도폭에 포함된다. 욕지도도폭은 통영시 욕지면 서부 및 여러 섬들과 남해군 상주면 세존도가 포함되고, 연화도도폭은 통영시 욕지도 동부와 여러 섬들이 포함되며, 매물도도폭은 통영시 한산면 남동부의 여러섬들이 포함된다(그림 1-1). 조사지역의 주요 교통편은 통영시에 도달하기 위해 35번 고속도로와 14번 국도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통영시에서는 미륵도 해안을 따라 연결되는 1021번 지방도와 거제도 서쪽 해안을 따라 연결되는 1018 번 지방도를 이용하여 쉽게 선착장에 도달할 수 있다. 조사지역은 선착장에서 모두 선박을 이용해야만 도달할 수 있다. 여객선으로는 대부분 통영항에서 출항하는 정기선을 이용할 수 있고 이외 미륵도 삼덕항과 거제도 저구항에서 출항하는 정기선을 이용해 현지에 들어갈 수 있다. 그리고 무인도와 작은 섬들은 정기선이 없기 때문에 주로 욕지도와 매물도에서 어선을 임차하여 입도할 수 있다. 인접도폭은 욕지도도폭 북서부의 서상도폭(장기홍 외 , 1989), 매물도도폭 북부의 융포도폭(원종관 외, 1980)이 이미 발간되었으며, 욕지도도폭 서부의 돌산도도폭과 남서부의 소리도도폭이 최근에 조사되어 발간되었다(송교영과 김현철, 2015). 그리고 욕지도도폭 북부의 미조도폭과 연화도도폭 북부으| 미륵도도폭은 이번에 함께 조사되어 발간하게 되었다(황상구 외, 2016). 조사지역의 주변은 지체구조상으로 경상분지의 납부에 위치하며, 백약기 후엽의 화산암류가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그 후에 심성암류가 관입하는 양상을 나타내는 지역이다(최범영 외, 2002). 욕지도 · 연화도 · 매물도도폭 지역의 지질은 하부로부터 백악기 후엽의 화산암류인 안산암질 및 유문암질의 화성쇄설암과 용암이 주로 분포하고 중간에 퇴적층이 얇게 수매 협재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을 관입한 백악기 후엽의 심성암류로서 섬록암, 화강섬록암과 화강암 및 화강반암이 관입하고 있으며 이들을 부정합적으로 피복하는 제4기 충적층이 소규모로 분포한다. 욕지도 · 연화도 • 매물도도폭 지역에 관한 연구는 1대 100만 한국지질도(최위찬 외,1995)와 1대 100만 한국지체구조도(황재하 외, 2001), 동위원소 연대지도(신생천과 진명식, 1995)에서 광역지질, 지체구조와 동위원소 연대에 관한 자료가 있고, 1: 25만 여수도폭 지질도(최범영 외, 2002)에 관한 자료가 발간되었다. 또한 조사지역과 연관된 연구 자료는 경남 남해지역 생산성 심성암체에 대한 암석지화학적 연구(김희남, 1992), 남해지역 화강암류의 암석화학적 및 광물화학적 연구(김희남과 박천명, 1995), 금산 미문상화강암에 대한 암석기재(좌용주, 1997), 거제도 화강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김종선 외,1998: 이춘회와 이상원, 1999; 김종선과 이준동, 2000), 백악기 화산압류에 대한 암석화학적 연구(윤성효 외, 1997; 김진섭 외, 1999), 통영 천열수계 Au-Ag-Te 광화작용에 대한 반응경로 모델링(Park et al., 2001), 경상호의 조구조 배경과 호화산작용(황상구,2012)과 지오투어리즘을 위한 욕지도의 지질학적 연구(안건산, 2013) 등의 자료가 발간된 바 있다. 지질도폭조사는 야외조사와 실내연구로 크게 구분되어 수행되었다. 야외조사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발간한 1:50,000 축척의 지형도(두미, 욕지와 매물)와 1:25,000 축척의 지형도(미조, 두미, 욕지, 비진, 매물, 갈곶, 갈도, 좌사와 국도)를 기본도로 하여 노두에서 관찰되는 암상을 분석하고 암상의 입체모양, 암질과 내부구조를 중심으로 기재하였으며 지질구조를 측정하고 실내분석을 위한 암석 시료를 채취하였다. 그리고 암층들의 분류, 산상 및 상호 접촉관계 해석, 분포 추적 및 경계 설정울 실시하였다. 실내연구로는 야외에서 수집한 지질구조요소, 각종 암석시료 등의 모든 자료들로부터 지질구조들의 발달 양상을 분석하였으며 박편제작 및 현미경관찰, 화학분석을 통해 정확한 암석명과 특성을 알아내고 암상을 조합하여 층서단위로 묶었다. 층서는 도서 내에서는 암상과 상호관계를 중요한 판단기준으로 삼았지만, 도서간에 격리되어 층서가 서로 맞지 않아 혼란을 초래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K-Ar 전암연대와 SHRIMP 저어콘 U-Pb연대를 측정하여 층서를 체계화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조사지역에 대한 종합적 지질자료를 분석하였고 지질학적 진화과정을 종합 해석하여 최종적으로 1:50,000 축척의 지질도와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지질조사와 실내작업에는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화산학실험실의 여러 연구진의 도움이 있었다. (출처 : 본문 1. 서언 p.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