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2020년도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의 개선 및 활용기반 구축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0-1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책임자 이상남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III. 주요 연구결과 1. 개정수요조사(소분류) ■ 과학기술의 발전과 국내·외 과학기술분류체계 동향을 표준분류체계에 반영하기 위해 개정수요조사를 실시 ● ‘연구분야 소분류’에 대한 개정수요제안서를 2개월(’20. 4.1〜5.29)동안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 * K2base(www.k2base.re.kr) 표준분류 개정수요접수 게시판 ■ 총 39건의 개정수요를 7개 기관에서 제출 ● 개정수요제출 기관은 대한기계학회, 대한수학회, 한국물리학회, 대한지질학회, 한국원자력학회,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식품의약품안전처 ● 개정유형별 개정수요 내용은 신설 24개, 명칭변경 7개, 통합 3개, 분할 2개, 통합 후 재분할 2개, 이동 1개 ※ 대분류별로는 기계 10개, 물리 7개, 보건의료 7개, 전기/전자 6개, 수학 5개, 원자력 3개. 지구과학 1개 2. 개정타당성 평가대상 선정(소분류) ■ 총 230개 개정수요에 대해 적합성 평가를 실시하여 169개 개정타당성 평가대상 선정 ● 평가대상 총 230개는 소분류 개정수요조사(’20년) 시 제출된 39개 외에 중분류 개정수요 조사·발굴·검토('18~'19년) 시 하위 구성 소분류로 제안된 190개*를 포함 * 중분류 개정 시 일괄적으로 개정해야 하는 ‘달리 분류되지 않는 〇〇' 형태의 개정수요(36개), 소분류 재구성에 따른 개정수요(154개) ● 평가대상 230개는 분과별로 자연 분과 32개, 생명 분과 54개, 인공물1 분과 40개, 인공물2 분과 57개, 인공물3 분과 47개에 해당 ※ 유사한 대분류를 대상으로 총 5개 분과(자연, 생명, 인공물1~3)룰 구성하여 평가 ● 개정타당성 평가대상에 선정된 169개는 분과별로 자연 분과 29개, 생명 분과 48개, 인공물1 분과 22개, 인공물2 분과 37개, 인공물3 분과 33개에 해당 - 개정타당성 평가대상에 선정된 169개는 개정유형 기준으로 신설 63개, 삭제 5개, 명칭변경 62개, 이동 12개, 통합 16개, 분할 6개, 통합후재분할 5개에 해당 3. 국가 융합연구 동향 분석 가. 총괄 분석 ■ 전체 현황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융합연구(다학제 과제)는 2015년 대비 2019년 과제수는 8,168개에서 27,148개, 투자액은 2조 2,868억 원에서 6조 208억 원으로 증가 ■ 연구개발단계별 현황 ● 기초연구를 중심으로 융합연구가 활발히 수행되며 관련 기초연구 과제수는 2015년 5,296개에서 2019년 18,751개, 투자액은 8,043억 원에서 2조 6,516억 원으로 증가 ■ 연구수행주체별 현황 ● 대학이 국가연구개발사업 융합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으며, 2019년 대학은 과제수 기준으로 20,4기개, 투자액 기준으로 2조 5,369억 원의 융합연구를 수행 ■ 부처별 현황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융합연구를 가장 많이 수행하며 2019년 과학기술정보 통신부의 융합연구 과제수는 13,511개, 투자액은 3조 3,169억 원 ■ 기술분야별 현황 ● 6T 중 융합연구는 BT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며 2019년 BT 분는 과제수가 12,314개(45.4%), 투자액 1조 8,232억 원(30.3%)으로 가장 높은 수준 ● 과학기술표준분류(연구분야) 중 융합연구는 보건의료(8,248억 원(13.7%)), 정보통신(7,265억 원(11.5%)) 대분류에서 활발 ● 과학기술표준분류(적용분야) 중 융합연구는 공공분야에서 건강 분야, 산업분야 에서 농업, 임업 및 어업 분야가 가장 활발 ■ 협력유형별 현황 ● 융합연구는 산·학, 학·연 협력유형에서 가장 활발하며 2019년 산·학 협력유형의 융합연구 과제수는 751개(25.3%), 투자액은 3,579억 원(17.5%)을 차지 나. 중점과학기술, 적용분야 기준 융합연구 네트워크 분석 ■ 중점과학기술 기준으로 네트워크 분석 결과 융합연구가 상대적으로 활발한 분야는 농림수산·식품이고 저조한 분야는 국방으로 나타남 ● 농림수산·식품 중점과학기술은 생명과학, 보건의료 등 전반적인 과학기술분류에서 융합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생명·보건의료 중점과학기술은 생명과학, 보건 의료 과학기술분류를 중심으로 융합연구 수행 ● 중점과학기술 11개 대분류별 주 기술분야에 상§하는 과학기술분류가 융합연구의 매개체 역할 수행 ※ (중점과학기술대분류/매개체 과학기술분류) 환경·기상/환경, 우주항공해양/기계, 기계제조/기계 ● 농림수산·식품 중점과학기술은 네트워크간 최단거리가 가장 짧아 네트워크의 다중화(redundancy) 가 많고 융합구조가 안정적인 반면, 기계·제조, 국방은 최단거리가 길어 특정 과학기술분류에 대한 의존성이 높음을 시사 ● 네트워크 근접중심성은 농림수산·식품 중점과학기술이 가장 높아 과학기술 분류간 가장 밀접하게 융합연구를 수행함을 시사, 반면 국방은 가장 낮아 상대적으로 과학기술분류간 연구를 독립적으로 수행함을 시사 ■ 중점과학기술 전체와 비중점과학기술간 융합연구 네트워크를 비교하면 중점 과학기술은 융합의 강도가 높고 비중점과학기술은 융합연구 형태가 다양 ● 중점과학기술의 과학기술분류간 연결이 비중점과학기술 보다 많아 더 높은 융합연구 강도를 보임 ● 그러나 비중점과학기술의 하위 커뮤니티(4개)가 중점과학기술의 하위 커뮤니티 (3개) 보다 많아 융합연구 형태가 더 다양함을 보여줌 ● 중점과학기술과 비중점과학기술간 근접중심성은 큰 차이가 없어 평균적인 융합거리는 유사 ● 중점과학기술 네트워크에서 높은 영향력을 가진 과학기술분류는 보건의료와 생명 과학이며 이 두 분류는 뇌과학, 농림수산식품 분류와 커뮤니티를 형성 ● 비중점과학기술 네트워크 또한 생명과학, 보건의료 과학기술분류가 융합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중점과학기술과 비교하면 보다 다양한 분류가 융합연구의 매개 역할을 수행 ■ 적용분야 기준으로 네트워크 분석 결과 산업/공공분야(기타제외)가 기타 보다 융합연구가 더 활발한 것으로 나타남 ● 산업/공공분야(기타제외)의 근접중심성, 네트워크 지수 정도가 높아 기타 보다 더 밀접하고 활발하게 융합연구를 수행 ● 산업/공공분야(기타제외)는 과학기술분류 중 상대적으로 생명과학, 보건의료 분류를 중심으로 융합연구 수행 ● 산업/공공분야(기타제외)의 네트워크간 최단거리가 기타보다 짧아 네트워크의 다중화 (redundancy) 정도가 상대적으로 많고 융합구조가 안정적임을 시사 4. 임시분류 근거 및 영향 모니터링 가. 근거 모니터링 ■ 16개 개정후보중분류관련 과제수는 1,921개로 전체 과제(30,467개)의 6.3%, 정부연구비는 5,547억 원으로 전체 연구비 (4조937억 원)의 13.6%에 해당 ● 과제수 기준으로는 ‘유전학·유전체학’이 423개로 개정후보중분류의 22%를 차지하여 가장 많고 ‘동물자원공학’(252개, 13.1%), ‘인공지능시스템’(206개, 10.7%)이 그 다음 순 ● 정부연구비 기준으로는 ‘우주시스템’이 3,178억 원으로 개정후보중분류의 57.3%를 차지하여 가장 많고 ‘유전학·유전체학’(460억 원, 8.3%), ‘동물 자원공학’(287억 원, 5.2%), ‘복합재료’(260억 원, 4.7%)가 그 다음 순 ● 개정후보중분류가 속한 대분류의 중분류 평균과 비교하였을 때 과제수 및 정부연구비가 모두 평균 이상(평균대비 비율 1이상)인 개정후보중분류는 총 7개*로 개정후보중분류의 약 44%에 해당 * 유전학·유전체학 동물자원공학 우주시스템, 복합재료 인공지능시스템, 정보통신 융합 서비스, 에너지 저장기술 2. 영향 모니터링 ■ 16개 개정후보중분류를 기재한 과제 현황인 영향범위는 과제수 기준 2,661개로 전체 과제(30,461 개)의 8.7%, 정부연구비 기준 6,417억 원으로 전체 정부연구비 (4조937억 원)의 15.7%에 해당 ● 총 33개 대분류 중 영향범위에 있는 대분류는 30개이며 과제수 기준으로는 ‘농림수산식품’(619개), ‘생명과학’(491 개), ‘정보/통신’(414개) 등의 규모가 크고 정부연구비 기준으로는 ‘기계’(3,264억 원). ‘농림수산식품’(670억 원), ‘정보/통신’(601 억 원) 등의 규모가 큼 ● 대분류 전체 과제 수 대비 개정후보중분류를 기재한 과제 수 비중은 ‘정보/통신’ (21.6%), ‘생명과학’(13.7%), ‘화학’(13%) 대분류 등이 높았음 ● 대분류 전체 정부연구비 대비 개정후보중분류를 기재한 연구비 비중은 ‘기계’ (61.7%), ‘정보/통신’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10000919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