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본 연구는 스트레스 호르몬에 의해 발현이 민감하게 조절되는 후생유전학적 조절인자 SUV39H1 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i) 해마에서 스트레스 및 노화에 의해 감소하는 SUV39H1 유전자 및 SUV39H1 조절 신호전달인자의 분리 및 조절기전, (ii) SUV39H1 및 SUV39H1 하위 신호전달 경로에 의한 우울증의 장기지속 및 노화에 따른 스트레스 민감성 조절 기전 규명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본 연구의 핵심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음 ◆ 만성스트레스 마우스 모델의 해마에서 작용하는 SUV39H1 에 의해 조절되는 유전자 지표의 기능연결망 분석: SUV39H1 조절 하위신호전달 인자의 작용 경로 분석 ◆ Aging에 따라 마우스 해마에서 SUV39H1 및 Mkp-1 조절 하위 신호전달인자의 발현 분석 ◆ HT22 hippocampal cells에서 글루코코티코이드에 의한 SUV39H1 및 Mkp-1 하위 신호전달 경로 조절 기전 분석 ◆ SUV39H1, Mkp-1, pCREB 의 single cell 수준의 면역조직학적 분석 ◆ HT22 hippocampal cells에서 rosmarinic acid (RA), fluoxetine (FLX), imipramine (IMI) 작용의 분자적 기전 연구 ◆ 만성스트레스 마우스 모델에서 개체 별 우울행동 분석 모형 -2차원/3차원 개체별 우울행동 분석 모형 제시 -PCA 및 K-Means clustering 적용한 개체별 분석법 제시 ◆ Fluoxetine, imipramine 및 rosmarinic acid 처치에 따른 항우울 효과와 인지기능 개선 효과 작용 기전의 비교 분석 결과 제시 ◆ 노화 마우스에서 SUV39H1 및 그 하위 신호전달 모듈에 의한 우울행동 조절 연구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핵심 세부연구 목표의 달성을 통해 스트레스에 의한 장기지속 우울행동 및 노화에 따른 스트레스 민감성 증가의 후생유전학적 조절의 중요성 확인 - 노화 과정에서 축적되는 스트레스 조절인자 작용의 변화에 따른 노화 동물의 스트레스 민감성 조절 연구 - 노화에 따른 스트레스 민감성의 차이와 및 노화와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 민감성 차이의 연구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