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 슈반세포 유래의 축삭재생 관련 생체인자들의 역할 규명을 통하여, 말초 및 중추신경의 축삭재생 유도인자의 발굴연구에 활용하고자 함. 전체 내용 Rat의 좌골신경 손상 후 슈반세포에서 생성되는 α6/β1 integrin과 축삭 미토콘드리아의 Cdk5 단백질의 활성화가 축삭재생에 양성적 인자로 작용함을 규명함. 또한, 슈반세포는 후생유전학적 기전에 의하여 GAP-43와 Cdc2 유전자의 발현조절에 관여하고, 유전자 발현시 기전적 연관성을 나타내는 histone deacetylase 억제제는 슈반세포의 활성화 조절을 통하여 축삭재생을 촉진함을 발견함. 연구개발성과 (i) Rat의 좌골신경 손상 후 슈반세포에서 생성되는 α6/β1 integrin 단백질은 축삭재생에 양성적 인자로 작용함을 규명 - α6/β1 integrin은 동시배양 신경세포의 신경돌기 길이 성장에 요구됨 - α6/β1 integrin은 슈반세포와 축삭 간의 신호교신의 매개체로 관여하며, 신경절단 후 재엽접 축삭의 재성장과 양성적 상관관계를 나타냄. (ii) 축삭재생의 내재적 인자로서 미토콘드리아의 Cdk5 역할 규명 - 축삭재생 시 유도 생성되는 Cdk5는 STAT3를 인산화시킴. - Cdk5 매개성 STAT3 인산화가 신경돌기 부위의 미토콘드리아에서 관찰되며 이는 미토콘드리아의 막전위 증가와 상관성을 나타냄. (iii) 축삭재생 연계성 슈반세포의 활성화에 후생유전학적 원리가 적용됨을 확인함 - 슈반세포에서 GAP-43와 Cdc2 유전자 발현은 Histone deacetylase (HDAC) 억제제 trichostatin A(TSA) 처리에 의하여 증가함. - TSA는 슈반세포의 증식 및 축삭재생을 촉진시킴; 축삭재생 인자로서 TSA의 활용가능성 암시 (iv) 미주신경 전기자극(vagus nerve stimulation; VNS)에 의하여 신경계 및 비신경계 표적장기의 항염증 효능성 검증 - 간 염증 및 연속스트레스 동물모델에 VNS 적용시 표적 조직세포에서 염증성 싸이토카인의 생성 감소 - 염증조절에 의한 신경기능의 복구유도 연구에 활용 가능성 제시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손상신경의 기능적 재생에 활성슈반세포의 활용 - 전기자극 매개성 병증조절에 의한 신경재생 유도기술 개발 - 인간의 신경손상 및 신경병증의 치료기술 개발에 활용 (출처 :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