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동북아시아 대표적 배경 대기 관측점인 제주도 고산에서 방사성탄소동위원소(Δ 14 C-CO 2 )의 플라스크 공기시료 채취 및 두 단계의 전처리 과정을 통해 주기적인 측정을 수행하였음 • 동북아시아 Δ 14 C-CO 2 의 장기적인 변화추세 및 계절 변동성을 이해하고, 이들의 상관성을 분석하였음. • CO 2 및 탄소동위원소 (Δ 14 C-CO 2 , δ 13 C-CO 2 ) 자료를 활용한 CO 2 배출원의 정량적인 기여도를 규명하였음 연구결과 • CO 2 및 Δ 14 C-CO 2 분석을 위한 지속적인 플라스크 시료채취 기술 확보를 위하여 플라스크 및 캐니스터 내 시료의 안정성 및 재현성 실험을 하였으며 δ 13 C-CO 2 변화폭은 약 0.6 ‰로 분석오차 범위내에 있어 시료의 안정성이 검증됨. • Δ 14 C-CO 2 분석전처리 장치의 정밀도는 ±0.01%의 오차를 보이며, 각 반응기내에서의 오차범위도 ±0.01% 로 전처리 장치는 반응의 재현성 뿐만 아니라 높은 정확도를 보임 • Δ 14 C–CO 2 의 계절변동성은 봄에는 최저값을 늦여름과 가을에 최고값을 보임. 계절변동성에 따른 평균 진폭은,10‰로 북반구 고위도 보다 높은 진폭을 보임.제주도 고산의 경우, Δ 14 C–CO 2 값이 북반구 고위도보다 낮은값을 보이는 것은 다른 요인보다는 화석연료로 배출된 CO 2 의 영향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사료됨 • CO 2 와 Δ 14 C–CO 2 는 여름철(7-9월)에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겨울철(11-1월)에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임. 이처럼 겨울의 대기중 CO 2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Δ 14 C–CO 2 가 감소하는 것은 화석연료의 CO 2 의 유입으로 상대적으로 대기중의 Δ 14 C–CO 2 값이 희석되어 감소하는 것으로 사료됨. • 제주도 고산에서 관측한 대기중 CO 2 농도의 증가로 인한 Δ 14 C-CO 2 의 값은–55.95‰로 매년 –5.6‰의 감소율을 보이며, δΔ ff 값 –48.89±3.26‰과 비교해 볼때 불확실도 범위 내에서 비슷한 값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제주도 고산에서 지난 10년간의 대기 중 CO 2 농도의 증가는 100% 화석연료의 사용에 의해 기인한 것임.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 CO 2 및 CO 2 의 탄소동위원소(δ 13 C-CO 2 , Δ 14 C-CO 2 ) 의 분석을 통하여 CO 2 배출원을 규명하고 배출원의 기여도를 정량화하며, 지구환경변화에 따른 변화 양상을 추적할 수 있는 기초가 될 것임. • CO 2 의 계절적변동과 지화학적 순환과정의 이해는 CO 2 의 순환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주고 받는 주요 대기 미량성분의 수송, 변화, 소멸의 물리, 화학적 제 과정 이해를 위한 근간임. • CO 2 및 CO 2 의 탄소동위원소(δ 13 C-CO 2 , -CO 2 ) 의 자료는, 주요 온실기체와 오염물질들의 분포와 변동을 예측하는데 이용되어지는 기존의 화학-순환 모델들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필수적인 자료가 될 것임. ( 출처 : 한글요약문 4p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