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과제에서는 한국 성인 대상의 한국형 건강기능식품(이하 건강기능식품) 섭취실태를 효과적으로 조사하기 위한 조사도구를 개발하였다. 일반 국민의 건강기능식품 섭취량 추정을 위한 설문조사는 섭취자 분포 추정을 위한 1차 조사와 실제 섭취자의 섭취량 추정을 위한 2차 조사로 설계하였다. 1차 조사 표본은 전국 만 19~64세 성인을 성/연령/지역 중심으로 인구비례 할당하여 선정하여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패널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전체 대상자 중 건강기능식품 섭취 경험이 있는 비율은 92.1%였다. 1차 조사에 기반한 2차 조사는 건강기능식품 섭취자인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2021년 8월 19일부터 5주간 진행하였으며, 표본 설계 시 균등 배분 방법으로 연령/성/지역별 대상자 수를 산정하여 정확한 제품 및 영양·기능정보의 확보를 위해 제품 라벨의 사진 수집이 가능한 방문 면접조사로 진행하였다. 국내외에서 생산, 수입된 건강기능식품 내 영양소 및 기능성 성분 자료(식약처 제공)를 데이터베이스(DB)화 하기 위해 성분 레이블 및 단위를 표준화하였으며, 표준화된 레이블과 R 프로그래밍을 이용하여 DB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DB의 정확도를 점검하여 오류를 수정한 후, 국내에서 유통되는 기능성 제품의 DB를 최종 구축하였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서버상에서 DBMS를 구축하여 개인이 다양한 건강기능식품 제품들을 복용하였을 때, 성분별 섭취량을 추정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서버 플랫폼을 구현 후 건강기능식품 섭취 실태조사 설문의 결과값을 적용하여 건강기능식품 성분(중금속 포함) 추정섭취량을 예측하였다. 세부 연구에서 구축된 건강기능식품 성분 DB를 활용하여 도출된 성분별 추정 섭취량과, 설문조사로 산출된 설문 섭취량 간 비교를 통해 타당도를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후, 전체 과정을 통해 조사 목적에 맞는 한국형 건강기능식품 섭취 조사체계 마련 및 현재 건강기능식품 섭취 수준에 따른 위험도 예측을 시행하였다. 설문 참가자의 개인별 건강기능식품 1일 섭취 권장량 대비 개인별 건강기능식품 추정 섭취비율의 평균은 약 0.9로, 이는 개인이 섭취하는 개별 건강기능식품을 제품의 권장섭취량 이하로 섭취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개인별 건강기능식품 섭취 제품 수는 평균 약 1.4개이며 최대 4개 품목으로 조사되었으며, 중금속 노출은 납이 대부분이였으나, 제품의 중금속 함량이 원료 기준규격이라 과대평가 되었을 소지가 있고 정확한 결과를 위해서는 건강기능식품내 중금속의 실측치 정보가 필요하다. 해당 연구결과를 통하여 구축한 건강기능식품 DB의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하여 국내 제조, 수입, 판매되는 건강기능식품의 종합적 관리 방안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해당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건강기능식품 섭취실태 조사도구를 활용하여 건강기능식품 섭취 관련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으며, 구축된 건강기능식품 DB를 활용하여 개인별 건강기능식품 섭취행태 및 영양성분, 기능성분, 중금속 섭취량을 분석하여 과다 섭취에 대한 위험성을 사전에 점검하고 지속적 관찰이 필요한 제품을 선별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 예상된다. (출처 : 요약문 6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