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코로나 19 이후 집 밖에서 일어나던 활동들을 거주공간 안에서 수용해야 하는 상황이 일상화되면서 다목적의 자투리 방을 가진 레이아웃이나 더 넓은 집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다. 발코니와 테라스와 같은 사적 야외 공간의 도입에 대한 필요성 또한 논의되고 있으며, 스마트홈 분야도 활성화되고 있다. 한편, 모듈러 건축은 공기단축과 품질의 안정성, 수직수평으로의 다양한 평면 조합이 가능한 구조의 융통성과 유지관리의 편리성 등의 장점을 지닌다. 대형건설사들과 중소기업이 모듈러 주택시장에 활발하게 진입하고 있으며, 정부도 모듈러 공공주택을 국가 연구개발과제로 추진하여 조립식 공동주택이 준공되고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단조로운 외부의 형태나 규모의 제한, 고정된 평면구조 등을 한계로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거를 구성하는 단위유닛(카트리지, Cartridge)에 가변성을 갖추도록 하여 다양한 실내 활동을 유연하게 수용하는 모듈러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관련 법규와 정책들을 리뷰하고, 지난 10년간 지어진 모듈러 하우스들의 평면구성과 세대유형의 정량적 분석과 더불어, 공법, 모듈러 크기 분석을 통하여 모듈러 주택설계의 데이터베이스를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모듈러 주택에서 한계로 지적되는 부분들을 정리하였고, 특히 정부사업이나 연구 대부분이 경제성과 시공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기에, 삶의 질적 측면이나 새로운 삶의 방식을 고려하는 접근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한정된 공간에서 다양한 활동을 담아내기 위한 방안으로 가변성의 개념에 집중하여 역사적, 이론적 담론들을 정리하고 가변성과 확장성을 고려하는 해외 사례들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실내가변성을 확보하는 방안은 첫째, 압축된 가구적 요소로 제공하는 것, 둘째는 압축된 가구적 요소(카트리지)를 슬라이딩이나 회전 등을 통해 실내공간을 구획하는 방법, 셋째는 카트리지 자체를 교체하거나 추가, 제거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하는 방안이 있음을 도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가장 공급이 시급한 1-2인 가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이를 위한 적정 최소면적을 도출하고, 운반과 시공을 고려한 모듈의 사이즈, 시공 디테일 등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의 시공성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시공업체마다 상이한 접근법을 지니고 있음을 발견하였고,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표준화된 BIM 라이브러리를 개발하기에는 구조, 설비, 화재, 음향, 진동 등과 관련된 고도의 실험이 이루어져야 하는 상황임을 파악하였다. 또한 스마트 기술은 지속적으로 새롭게 탈바꿈되고 있어서 특정 제품을 채택하는 순간 낡은 기술이 되어버리고, 무엇보다 소형화된 전기설비적 측면이 강하여, 모듈의 구조적 물리적 시스템 자체를 개발하고 제안하는데 큰 요인은 아니라 판단되어 연구에서 제외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가변적인 실내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식의 평면 개발에 집중하였고, 특히 가변성을 구현하는 카트리지의 이동 메커니즘이나 치수 등을 기본설계 수준까지 구체화하여 발전시켰다. 1인 가구유형은 규모의 물리적 한계로 인하여 압축된 가구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그 유형을 제안하였다. 2인 가구 유형은 현재의 모듈러 건설방식과는 다르게, 현장에서 결합되는 모듈의 방향을 90도 회전시키고 복도측에 가깝게 놓이고 MEP 설비요소가 관련되는 ‘Utility 모듈’과 파사드쪽에 놓이고 거주자의 다양한 활동들을 직접 customize하고 가변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Flexible 모듈’로 개발했다. 후자의 공간은 거주자가 고르고 추가, 교환, 제거가 가능한 카트리지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슬라이딩 시스템을 통해 확장 및 압축이 가능하다. 나아가 이를 실제 규모의 프로젝트로 발전시켰다. 이 과정에서 발코니 모듈의 접합이나, 집합주거로 될 때 고려해야 할 실내외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 또한 모듈화하여 제안하였다.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를 통해 학문적으로나 실무적으로 향후 모듈러 주택의 연구나 계획에 활용될 수 있는 데이터자료를 구축하였으며, 새로운 유형의 모듈러 주택 개발에도 참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시스템은 모듈러 건축뿐 아니라 주거분야의 관련 연구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현재 모듈러 연구는 철골로 제작되는 모듈 자체의 경제성과 시공성에 집중되어 있는데, 화장실이나 주방, 카트리지 자체를 독립된 모듈로 접근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관련된 산업부분에도 새로운 사업모델로 고려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로 개발된 시스템은 사용자의 customization이 가능하여 주거선택권의 다양화와 주거산업분야의 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기대된다. 거주자가 보다 거주하고 싶은 공간적 환경을 만드는 것이 모듈러 산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것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