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유럽 ENGAGE 공동연구 수행 ○ 전체 내용 ◆ 국가 및 글로벌 온실가스 감축정책평가 표준모델 개발 및 적용 ◆ 국가 및 동아시아 온실가스 감축-적응정책 통합평가 표준모델 개발 및 적용 ◆ 미래 에너지수요변화, 기후변화 영향 등을 고려한 한국의 저탄소 경로개발 ○ 1년차 □ 목표 국가 및 글로벌 온실가스 감축정책평가 표준모델 개발 및 적용 □ 내용 ◆ 글로벌한 감축 목표, 사회구조적 변화에 따른 에너지수요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표준 모델 개발 ◆ 정책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ENGAGE 프로젝트 중 과제 2.1) ◆ 한국의 NDC와 글로벌 목표와의 갭의 정량적 분석 (ENGAGE 프로젝트 중 과제 2.1) ◆ 국가 감축 시나리오의 타당성을 다른 국가의 기술-경제적, 사회-기술적, 정치적 제약 및 활성의 측면에서 평가 (ENGAGE 프로젝트 중 과제 4.3) ○ 2년차 □ 목표 국가 및 동아시아 온실가스 감축-적응정책 통합평가 표준모듈개발 및 적용 □ 내용 ◆ 온실가스 감축-적응정책 통합평가를 위한 표준모듈 개발 (산사태/열섬 중심) ◆ 국가 차원의 기후 변화 완화의 공동 이익, 상쇄효과 분석(ENGAGE 프로젝트 중 과제 5.1/ 5.2) ◆ 국가 및 글로벌 한 감축정책을 통해 회피된 영향(avoided impacts) 분석 및 국가적 이점(기여도) 분석(ENGAGE 프로젝트 중 과제 5.3) ○ 3년차 □ 목표 미래 에너지수요변화, 기후변화 영향 등을 고려한 한국의 저탄소 경로개발 □ 내용 ◆ 저탄소 경로개발을 위한 정책 의사결정지원 프레임 개발 ◆ 국가 온실가스 감축 경로에 대한 이해당사자들과의 논의를 위한 워크샵 개최(ENGAGE 프로젝트 중 과제 1.2) ◆ 지구 온난화를 2°C 와 1.5°C 로 제한하고, 인위적인 흡수원과 배출원 사이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새로운 제안되는 글로벌 경로에 따른 한국 대응가능성 분석(ENGAGE 프로젝트 중 과제 3.1) ◆ 파리 협정의 전반적인 목표와 현재의 정책 강화 가능성에 대한 국가의 중기 전략 및 정책의 일관성 분석(ENGAGE 프로젝트 중 과제 4.5) □ 연구개발성과 본 연구과제 실적과 연계된 논문(SCI 3편) ENGAGE 프로젝트 성과와 연계된논문(SCI 3편) GAMS 및 Python코드(CGE모델과 연계된 감축, 감축-적응, 의사결정지원 등 표준모듈)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1) 국가 기후변화 감축정책의 이행평가에 활용 • 국가 및 글로벌한 시나리오 및 모델평가를 통해서 2023년 이후의 NDC 이행평가에서 한국의 정책의 이행성과를 측정할 수 있음 • 국제간 비교가능한 표준화된 모델을 통해 도출된 결과물은 협약에 제출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 2) 적응-감축대책 수립 과정의 효율적인 의사결정 지원 • 주요 분야의 공통적 기후변화 영향 및 적응 경제성 평가 기술은 분야별 적응대책 수립에 효율적으로 활용이 가능함 • 기후변화 적응-감축의 불확실성과 정책의 경제적 가치를 고려하여 환경적 사회경제적 근거에 기초한 현실적 기후변화 적응 정책을 제안함 3) 연구 및 교육기관(대학교 등) 지원 • 기후변화 감축, 기후변화 영향연구 및 분석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음 • 환경계획, 도시설계, 조경설계와 관련하여, 기후변화 적응-감축을 연계한 공간계획 및 설계방안 제시에 활용 가능함 (출처 :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