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사전대비, 사고대응, 피해진단 및 생태계 회복능력 평가로 이어지는 화학사고 후 환경피해 관리체계의 기반을 아래와 같이 마련한다. - 환경피해 사전대비를 위한 화학물질별 육상/수 생태취약성 체계 개발 및 취약 인자/종 목록 구축 - 사고 직후 빠른 대응을 위한 수계/관거 내 사고물질 거동 예측모델 개발 및 사고시나리오 작성 - 사고대비물질 37종에 대한 육상/수 생태위해도 기준 마련 - 화학사고 후 생물자원 피해에 대한 현장 조사방법론 구축 - 환경 중 사고물질 모니터링 지침 개선 - 생태계 서비스 피해 및 회복능력 평가 방법론 개발 ○ 전체 내용 1. 사고대비물질의 환경 중 거동모델 개발 및 시나리오 작성 - 생태위해성/사고가능성이 고려된 사고다발물질 선정 - 4대강 유역에 대한 수계-관거 모델 개발 및 대기 모델과의 결합 - 화학물질 수계유입 누출사고 시나리오 작성 2. 사고대비물질별 육상/수 생물종에 대한 종민감도분포 구축 및 초기 생태위해성 스크리닝 프로토타입 모델 구축 - 생태위해성 평가 체계 마련 - 화학물질별 종민감도분포 및 예측무영향농도 산출 - 생존 확률 산정 및 거동모델과의 결합을 통한 위해성 스크리닝 프로토타입 개발 3. 육상/수 생태취약성 평가 체계 및 취약종 DB 구축 - 생태취약성 평가방법론 구축 및 인자 DB화 - 사고대비물질에 대해 교목 41종, 관목 41종 및 초본 215종, 담수생물 340종의 취약성 DB 구축 및 생태취약성 지도 작성 4. 화학물질 및 사고 유형별 생태/환경 피해영향 통합평가 기법 구축 - 환경/생체 내 사고물질의 노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현장조사용 화학센서 개발 - 타액/분광특성/대사물질 분석 기반 가축/식생/작물피해 영향진단 정량화 가이드라인 제시 - 수서 및 육상생물에 대한 화학물질 분석 및 모니터링 지침 작성 - 육상/수 생태계에 대한 생태계서비스 피해 및 회복능력평가 지침작성 □ 연구개발성과 ● 과학적 성과 - SCI 논문 61건, 국내 논문 3건 - 논문 mrnIF 평균 , - 환경 거동, 사고대비물질 독성평가, 생물자원 피해영향 조사, 취약성평가, 사고물질 분석기법, 생태계 서비스 관련 과학적 기반 마련 - 해외학술발표 12건, 국내학술발표 13건 - 생태 취약종 DB, 종민감도분포 DB 등 화학사고 영향조사를 위한 기반 데이터 베이스 구축 ● 기술적 성과 - 화학사고 사후관리 관련 특허 출원 8건, 등록 4건 - 등록 특허 : 피콜리노일하이드라자이드계 화합물/형광 화합물을 포함하는 이미다졸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차아염소산 이온 검출용 화학센서, 화학사고 피해 진단을 위한 챔버, MATLAB 활용 EFDC 자동화 프로그램 - 출원(등록 진행중 특허) : 유해가스 노출 피해정도 검사 위한 타액 처리 kit, 타액 시료를 이용한 유해가스 노출 피해정도 검사방법, 식물 피해 진단 방법 및 시스템 - 산업단지별 관거 모델, 금강 지류 갑천 수계 모델, 쉐이프 파일 및 시나리오 생성 자동화 코드 프로그램 저작권 등록 ● 사회적 성과 - 화학물질관리법 제44조(화학사고 현장대응) 및 제45조(화학사고 영향조사)에 따른 현장대응 및 영향조사 지침 개선을 위한 정책 채택 4건 : 화학사고 우려물질 60종 핵심정보집 : 화학사고 피해 검증 오염도 측정 지침(농작물, 가축, 환경매체 대상) : 화학사고시 현장 정밀 분석 오염도 측정 지침 : 화학사고 후 환경피해영향 예비조사 지침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공공안전 활용도 (수요처 : 화학물질안전원) - 취약성 평가를 통해 도출된 취약종 리스트 및 취약 지역 정보를 화학사고 대비 유관기관과 공유하여 화학물질 취급업체의 장외영향평가에 활용하거나 사전에 대비할 수 있는 정책 마련 가능 - 고도화된 4대강 유역 수계/관거 모델을 통해 사고물질 누출 후 수계 내 확산에 대한 정확한 판단 가능. - 구체화 및 명료화된 예비 및 영향조사 지침으로 현장조사의 효율성 개선 ● 기술적/사회경제적 기대효과 - 표준화된 국내 종 대상 독성평가 방법론 및 개발된 메조코즘 시스템을 다른 대상물질 연구에도 활용하여 독성연구 질 향상에 기여 - 타액분석 툴박스, 휴대용 환경센서 등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기술 개발 - 객관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피해산정 과정을 통해 사회적 갈등을 최소화할 것으로 기대 - 기존에 인명/물적 피해만 중시하던 피해산정에서 과학적인 생태계 피해산정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환경 생태계 유지의 제도적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음 (출처 : 요약문 5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