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마이크로바이옴의 국내외 정책 동향 및 미래 전망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2-02-16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김영철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2001년 2월 12일 다국적 연구자에 의해 인간 유전체 지도가 완성되었다고 발표할 당시에 우리는 질병의 원인 및 노화에 대한 신비를 풀 열쇠라고 여기며 인간 질병의 모든 것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게 되었다. 인간 유전체 지도를 완성하면서 인간의 성장과 질병 등에 관련된 유전자를 확인할 수 있었고, 그동안 의학계의 난제였던 유전병이나 난치성질환을 치료하는 데 개인의 유전자를 활용하는 개인 맞춤형 치료를 가능하게 만들었다.[1]<br /> 그러나 인체의 신비는 그렇게 만만하지 않았다. 여전히 암 발생률은 증가하고 있고 노화에 대한 많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지만 여전히 풀리지 않는 난제가 도사리고 있었다. 또한 항생제 오남용으로 인한 질병 문제 역시 여전히 우리에게는 풀지 못한 난제이다.<br /> 인간 게놈 프로젝트(Human Genome Project, HGP)를 통한 인간의 염기서열 분석만으로는 생명현상 전반에 대해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에 학계에서는 2000년 이후 인체의 복잡성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인체 내 공존하는 미생물과 그 유전자의 관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알고 미생물 유전자로 연구 범위를 확장했다.[2]<br /> 인간 유전체 지도의 완성 이후 20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마이크로바이옴을 주목하고 있다.<br />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과 항생제 오남용으로 인한 비만, 당뇨 등 21세기 질병 발생의 원인으로 과학자들이 &lsquo;제2의 게놈(Second Genome)&rsquo;이라고 불리는 마이크로바이옴을 주목하기 시작하면서 인간 생태계 관련 마이크로바이옴의 중요성이 강화되고 있다.<br /> <br /> 이에 과학자들은 기존의 개별 미생물 분석 연구에서 미생물 군집에 기반을 둔 인체, 동식물 등과 미생물 간의 상호작용 연구로 발전시켰으며, 마이크로바이옴이 인류 건강 및 안전, 식품, 농업,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br /> <br />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이란 &lsquo;인간, 동식물, 토양, 해양 등 특정 환경에 서식하는 미생물 군집(microbiota)과 유전정보(genome) 전체를 총칭&rsquo;하는 단어로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이정숙 박사는 마이크로바이오타(microbiota)와 게놈(genome)을 합쳐서 만들어진 합성어로 인간, 동식물, 토양, 바다, 호수, 암벽, 대기 등 모든 환경에서 서식하거나 공존하는 미생물과 그 유전정보 전체를 포함하는 미생물 군집이라고 정의하였다.[3]<br /> 2014년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에서 세계 10대 유망 미래 기술 중 하나로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가 선정되면서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게 되었다. 이외에도 안전, 식품, 농업,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br /> <br /> 무엇보다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된 계기는 유전체분석기술의 발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유전체분석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간 유전체보다 수백 배 이상의 유전자를 가진 마이크로바이옴 빅데이터 분석이 가능해짐으로써 미생물과 숙주, 미생물과 미생물, 미생물과 환경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차세대 유전체분석기술 및 각종 대용량 분석기법을 이용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br /> <br /> 이를 토대로 미국, 유럽 중심으로 다양한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으며, 세계 주요국의 관련 정책 동향 및 마이크로바이옴이 우리 미래의 삶에 미칠 영향에 대해 논해보고자 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212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