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신장암에서 Lymphocyte associated gene 3의 면역관문억제자로서의 역할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3-03-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인제대학교
연구책임자 이찬호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요 LAG3는 전 세계 적으로 다양한 암종에서 널리 적용되기 시작한 면역관문억제제 중 차기 목표로서 가장 주목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신장암에 있어 LAG3의 역할을 총 3가지 접근법 (빅 데이터를 통한 분석, 환자유래의 조직을 통한 분석, 실험동물을 통한 분석)을 통해 총체적으로 규명하였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본 연구의 세부목표는 TCGA 등의 빅 데이터를 이용한 신장암에서의 LAG3의 역할 규명, 환자 유래 신장암 조직에서 LAG3 발현확인 및 발현량에 따른 임상적 역할 규명, 신장암 동소이식 마우스 모델에서 LAG3의 면역관문억제자로의 역할 규명으로 구성되었다. 각각의 세부 목표에 맞추어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그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TCGA등의 빅 데이터를 통한 분석에서 신장암에서 LAG3의 발현이 증가 할수록 낮은 생존율이 보임을 확인 하였으며, 동일한 조건에서 PD-L1의 발현 증가에 따른 생존율 변화를 함께 확인하여 면역 관문 억제제로서의 LAG3의 잠재적 가치를 확인하였다. 환자 유래 신장암 조직으로 이루어진 Tissue microarray를 설립 완료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신장암 조직에서 LAG3의 발현 및 Grade 변화시 증가되는 발현을 확인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발현량과 임상병리 인자에 따른 예후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LAG3의 발현량이 증가될수록 낮은 생존율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마우스 유래의 Renca cell line을 이용한 reporter gene transfected cell line 형성후 이를 이용하여 신장암 동소 이식 마우스 모델을 확립하였다. 확립된 신장암 동소 이식 마우스 모델을 통해 Anti-PD-1 및 Anti-LAG3 antibody를 이용한 면역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면역치료 시행시 Anti-PD-1 및 Anti-LAG3를 함께 치료시에 증가된 종양 억제 양상을 확인하였다.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학문적 측면 종양 면역학 분야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신장암에 있어 Anti-LAG3를 이용한 면역관문억제제 치료의 기초적, 이론적 근거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에서 보여준 널리 알려진 PD-1과 같은 면역관문억제제와의 synergistic effect는 향후 더욱 활성화될 복합면역치료의 이론적 근거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기술적 측면 및 후속 사업과의 연계성 본 연구에서 사용한 빅데이터 분석 법 및 종양면역에 관련된 임상적, 병리조직학적 결과는 향후 신장암 이외의 다른 악성 고형종양에서 적용 및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확립한 신장암 동소이식 마우스 모델은 새로운 면역관문억제제의 발굴의 이론적․실험적 플랫폼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30000907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