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1. 분석자 서문 개인위생용품(personal care products; PCPs)은 치약, 선-크림, 로션, 비누, 샴푸, 방충제, 방향제 등에 사용되는 화학물질로서, 지난 수십 년간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PCPs도 함께 증가하였다. 본 분석에서는 PCPs가 환경 중에 존재하는 농도를 파악하고 독성을 나타내는 수준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PCPs는 하수원수, 하수처리수, 하수슬러지에 만연하게 존재하고 있으며 일부 PCPs는 음용수에서도 검출되었다. 또한 지표수에서 검출된 PCPs 중 일부는 수중생물에게 독성 영향을 줄 수 있는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의 경우에는 2006년도에 관계부처 합동으로 항생제 내성 관리 대책의 일환으로 4대 강의 항생제와 일부 의약물질 농도를 모니터링하였다. 하지만 모니터링하는 화학물질의 종류가 매우 적었고 모니터링 결과를 공개하지 않아 이들이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본 분석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PCPs는 환경에 만연하게 존재하고 있으며 수중생물과 수서생물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PCPs의 사용량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생물농축에 의한 먹이사슬로 인간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PCPs와 의약물질, 호르몬과 같은 미량유해오염물질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이들 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정수 및 하수처리 공정의 개선 및 개발이 필요하다. 2. 목차 1. 개요 2. 재료 및 방법 2.1. 데이터 수집 2.2. 데이터 분석 3. 특정 PCPs군의 독성 문제 3.1. UV-filters (UVFs) 3.2. 항균제 3.3. 방부제 3.4. 방향제 3.5. 방충제 3.6. 기타 PCPs 4. 환경에서의 PCPs 농도 분포 4.1. 하수원수 4.2. 하수처리수 4.3. 지표수 4.4. 하수슬러지 4.5. 퇴적물 4.6. 지하수 4.7. 음용수 5. 결과 및 고찰 6. 결론 6.1. 지속적인 모니터링 6.2. 다양한 종류의 PCPs 분석 6.3. 효과적인 PCPs 처리 공정 7. 분석자 결론 References 3. 원문정보 Zachary R. Hopkins, Lee Blaney/An aggregate analysis of personal care products in the environment: Identifying the distribution of environmentally-relevant concentrations/Environment International/2016.6 ※ 이 자료의 분석은 경기연구원의 문철환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