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공공 2차 자료원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장애인의 식생활 형편 및 식습관 행태, 영양지식, 식품안정성 등에 관한 현황 분석 및 장애인의 영양상태 판정, 영양불균형 문제를 파악하고자 하며, 이를 근거로 장애인의 식생활 및 영양상태를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장애인의 취약한 영양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식생활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함 ■ 전체 내용 ○ 장애인의 영양문제 및 영양관련 건강문제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 장애인의 식생활 및 영양상태 분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분석계획 수립 ○ 장애인가구와 비장애인 가구의 식품불안정성 비교 분석을 통한 가구 단위에서의 식생활 빈곤문제 파악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영양상태 및 영양불균형 현황 분석을 통한 개인 단위에서의 영양문제 파악 ○ 장애인 식생활지원제도 필요 및 지원방안에 관한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 수행 ○ 장애인의 식생활 환경 조사 및 식품지원/영양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도 파악을 위한 개별심층인터뷰 실시 □ 연구개발성과 ○ 전문학술지 논문게재: SCI 등재지 1건, 논문 2건 투고 준비 중(SCI 등재지 1건, KCI 등재지 1건) ○ 학술대회 논문발표: 국내학술대회 1건 ○ 학위배출인력: 학사 2명 ○ 후속연구 추진: 지역사회 단위에서 취약계층의 식생활지원 플랫폼 구축을 위한 후속 연구 추진(과제책임자 수행) ○ 언론보도: Household Food Insecurity: Comparison between Families with and without Members with Disabilities 논문의 연구성과 관련하여 언론보도(충북일보, 충청매일, 국제 뉴스, 브릿지경제 등) ○ 정성적 성과: 장애인 식생활지원제도 필요 및 지원방안에 관한 지자체 및 장애인 복지 기관 영양사업/복지사업 담당자 대상 설문조사를 통한 전문가 의견 수렴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대표적인 건강취약 집단인 장애인의 전반전인 식생활 평가 및 영양상태 판정을 통해 장애인의 주요 영양문제 도출 및 관련요인 규명 ○ 장애인을 가구구성원으로 포함하고 가구의 식품불안정(food insecurity) 현황 분석 및 식품불안정 관련요인 규명을 통해 가구 단위에서 장애인 식생활지원을 위한 필요 및 정책적 근거 마련 ○ 장애인 식생활지원제도 필요 및 지원방안에 현장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해 장애인의 영양격차 해소를 위한 식생활 지원제도 마련 시 관련 근거 확보 및 계획 수립에 활용 ○ 본 연구개발성과를 발전시켜 추진한 취약계층 대상의 식생활 중재 후속연구를 통해 다양한 영양 취약계층의 식생활 관리 역량 강화 및 커뮤니티 단위에서의 효과적인 영양 중재 전략의 탐색 (출처 :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