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제브라다니오를 이용한 영구치 발생과 형태형성의 외부조절기전 규명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0-06-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고려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연구개요 □ 치아형성 과정에 대한 연구는 임상적으로나 학문적으로도 매우 큰 가치를 가지는 연구 분야이기 때문에 최근 많은 관련된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는 추세임. 이러한 기존의 연구들은 연구방법의 한계로 인하여 ‘유치의 형성 과정’에 대한 실험만을 수행할 수 있었음. 예를 들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동물모델인 쥐는 영구치가 없이 하나의 치아가 계속 자라나는 치아형성기전을 가짐. 하지만,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아생성‘은 성인의 영구치를 대상으로 하는 기술이기에 유치보다는 영구치의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가 보다 큰 중요한 가치를 지님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연구목표: ‘영구치의 발생 및 형태 형성의 외부요인 규명’을 위하여 첫째, 영구치의 발생에 대한 외부 신호전달체계의 영향을 규명하고, 둘째, 영구치의 형태형성에 대한 신경유래물질의 영향을 규명하며, 셋째, 외부 신호전달체계와 신경유래물질의 상관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영구치 형성의 외부조절기전 규명을 통해 영구치 재생 원천기술을 확보하려 하였음 □ 연구결과: 1. wnt 신호전달 과활성은 첫 번째 치아 초기발생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음을 확인함. 또한, 계승치판이 비정상적으로 비대해진 형태로 발생됨을 확인하였으며, 발생 후 110시간까지도 계승치가 발생되지 않는 것을 확인함 2. larvae 단계에서의 첫 번째 계승치판과 계승치 뿐만 아니라 성체 제브라피쉬의 계승치판 형성과정에서의 Notch 활성을 tp1 프로모터 리포터 제브라피쉬로 확인한 결과, 이전 치아와 인접한 epithelial 세포에서 강한 활성이 확인됨 3. 계승치판 구조 형성 기간에 맞춰 γ-세크레타제 억제제 화합물인 LY-411575을 처리하였을 때. notch 타겟 유전자 her4의 프로모터에 의해 적색 형광단백질을 발현하는 her4-dRFP 형질전환 제브라피쉬에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Notch 활성이 저해되는 것이 관찰됨 4. 직면역화학염색법을 통하여 alcam 단백질 발현을 확인한 결과, larvae 단계에서의 첫 번째 계승치판이 형성되는 시점에 약하게 alcam이 발현되며 계승치의 형태발생(morphogenesis)이 일어나는 동안 속치아상피(inner enamel epithelium)에서 강하게 발현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음. 또한 성체의 계승치판에서도 뻗어나가는 세포 배열에 따라 ALCAM의 발현이 관찰됨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두 조직(epithelium, mesenchyme)의 결합으로 발생이 되는 대표적인 생체기관인 치아의 발생과정을 밝혀냄으로써 인체발생학에서 중요한 학문적 의미를 갖는 ‘조직간 상호작용(tissue interaction)’에 대한 새로운 이론 정립 □ 생체기관의 발생에서 외부조절기전에 대한 새로운 이론 정립 □ 본 연구를 통해 영구치의 형성에 관여하는 외부조절기전을 밝혀내고, 정상적인 영구치 형성을 유도하기 위한 chemical을 제작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아제작’의 현실화에 기여 □ 선천적 무치아증(anodontia) 환자의 예방과 치료의 기틀 마련 (출처 : 요 약 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10001285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