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줄기세포 표현형 간세포암종의 분자생물학적 특성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6-11-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본 연구과제 지원으로 아래 성과들을 얻었으며, 총6편의 해외 및 국내 논문을 게재하였음. 1) Array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분석에서 줄기세포 표현형 간세포암종에서 의미있게 증폭된 유전자인 Transforming acidic coiled-coil-containing protein 3 (TACC3)의 발현 양상 및 임상-병리학적 의미 분석 (Nam et al. Tumor Biology, 2016): 본 연구에서 TACC3는 줄기세포 표지자의 발현 및 상피-중간엽 이행 관련 단백의 발현과도 관련이 있고, 유사분열지수, Ki-67 증식능 및 multipolar mitosis 지수와도 연관이 있었으며, 환자의 예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함. 또한, TACC3 단백의 발현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유사분열 중인 암세포는 세포질에 발현되었으나, 그 외의 세포들은 centrosomal microtubule에 국한되어 발현되었다는 흥미로운 결과를 얻었음. 본 결과는 (1) 간세포암종에서 불량한 예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TACC3의 역할을 제시, (2) TACC3는 paclitaxel에 대한 감수성을 조절하는 인자라는 보고가 최근에 있어, 향후 간암에서 TACC3의 치료에 있어서의 역할도 검토해볼 필요성을 제시함. 2) 줄기세포 표지자로서 SALL4의 가능성 제시 (Park et al. J Pathol Transl Med 2015): 최근에 줄기세포 표지자로서 Sal-like protein 4 (SALL4)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hepatic progenitor cell에서도 발현된다는 보고가 증가하고 있음. 본 연구팀은 tissue microarray에 대한 단백발현 연구 결과, SALL4의 발현은 20.6%에서 관찰되었으며, SALL4를 발현하는 간암은 SALL4 음성 간암에 비하여 overall survival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흥미롭게도 EpCAM과 SALL4를 동시에 발현하는 경우도 예후가 불량하며 EpCAM-negative HCC 중에서도 SALL4에 양성인 간암이 불량한 overall survival을 보였음. 본 연구결과는 줄기세포 표현형 간암의 진단마커 및 간세포암종의 예후인자로써 SALL4의 가능성을 보임. 3) 간세포암종에서 liver fatty acid binding protein (LFABP)의 발현 양상 및 임상-병리학적 의미 (Kim et al. J Liver Cancer 2015): LFABP는 간세포에서 풍부하게 존재하는 단백으로 HNF1A-inactivated hepatocellular adenoma에서 LFABP의 발현이 소실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간세포샘종의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진단 마커임. 본 연구자들은 간암에서 LFABP의 발현 양상을 분석해보고자 tissue microarray에 대하여 LFABP염색을 시행하였으며, 간세포암종의 16%에서 LFABP의 소실이 관찰되었음. LFABP-negative HCC는 혈관 침윤의 빈도가 더 높고, 종괴의 크기가 컸으며, 줄기세포 표지자 K19를 더 흔히 발현하였음. 또한 LFABP를 소실한 간암의 경우 무병생존율이 낮았음. 4) 이상의 tissue microarray 기반 단백 발현 양상 및 임상-병리학적 correlation과 관련된 연구 결과들로 인하여 다음 중요 정보를 제공함: (1) 간암발생의 병태생리를 이해하는데 추가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 할 수 있으며, 간세포암종의 예후 인자 및 치료 표적으로써 TACC3, SALL4 및 LFABP의 가능성을 제시함. 줄기세포 표현형 간암에 대한 이상의 연구 결과들은 두 논문 (Kim et al. Best Pract Res Clin Gastroenterol 2014, Kim et al. Dig Dis 2014) 에 요약하여 기술한 바가 있음. 5) miRNA microarray 기법을 이용하여 EpCAM-positive HCC에서 miR-3920 및 miR-466의 발현 증가 및 miR-4501, miR-181d-3p 및 miR-542-5p의 발현 감소를 관찰하였음. 본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제작된 tissue microarray에 LNA-FISH라는 in situ 기법을 적용하여 305개의 간암 조직에 대하여 miRNA 발현 분석을 시행하여 현재 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miRNA 추출을 위하여 충분한 양의 조직이 있는 검체 50예를 선정하여 miRNA 추출 및 동일한 miRNA에 대한 real-time PCR 실험을 진행하였음 (논문 작성 중). 6) LNA-miRNA-FISH 기법 및 real-time miRNA PCR 기법의 비교 분석 및 검증을 위하여 본 연구자들은 간암 외에도 췌장암에도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흥미롭게 췌장신경내분비종양에서 miRNA-196a가 발현되는 경우에 예후가 불량함을 알 수 있었고, LNA-miRNA-FISH 결과와 정량적인 miRNA PCR 결과의 correlation 이 관찰되어, in situ 분석이 가능한 LNA-miRNA FISH 기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음 (Lee et al. Medicine 2015). (출처:요약문 3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70001465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