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통일한국의 여성·아동 건강 정책과제와 추진전략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08/01/2015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책임자 황나미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Ⅲ. 주요 연구 결과 1. 여성 및 아동 건강이 미치는 사회경제적 효과 □ 태아기(270일) 부터 출생 후 만 2세(730일)가 되는 유아기 까지 총 1,000일간의 건강은 평생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차세대 국민의 자질 향상과 직결됨. - 임신기간 동안 영양결핍 상태를 경험한 모성은 저체중아 출산 확률이 높고 저체중 출생아는 신체기능 미숙 및 면역력 약화로 질병 이환 및 후유증으로 사망 가능성이 높아 사회적 부담이 큼. - 출생 후 만 2세 기간 중 불량한 영양상태는 학습장애 및 발달장애 등이 초래될 가능성이 높고 성장한 이후에는 당뇨, 고혈압 만성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짐. □ 따라서 임부 및 영유아의 영양결핍과 건강문제를 해결하면 사회적 비용부담의 감소로 외부경제효과(external economic effect)가 큼. - 개인에게는 삶의 질을 향상시킬 뿐 만 아니라, 국가적으로는 질적인 인적자본(human capital)의 확보로 매년 2∼8%의 GDP 손실이 방지되는 효과가 입증되었음. 2. 동서독 통합 과정에서의 모성 및 아동 건강정책의 교훈 동서독 가. 동서독 모성 및 아동 정책 통합 주요 쟁점 및 극복 실태 □ 통일이후 사회정책에 대한 제도가 다르고 가치관이 달라 사회적 통합과정에서 대두된 대표적인 문제는 인공임신중절 규정이었음. - 서독은 의학적 이유로 또는 사회적인 문제로 인해 인공임신중절이 필요할 경우에 전문가의 상담을 받은 이후에만 인공임신중절 시술을 할 수 있었음. - 반면, 동독은 임신 후 12주 이내에는 어떤 상담도 필요없이 인공임신중절술을 허용하였음. □ 통일 초기, 동독지역에서는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서독의 전문가 상담 규정을 수용할 수 없었으며 자기 결정권(pro-choice)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하여 1992년말까지 2년 동안은 서독과 다른 기존의 동독의 규정을 그대로 적용하는 타협안이 통과됨. - 통일 직후 구 동독 지역은 실업률의 상승으로 생활수준이 어렵게 되었고,인공임신중절술은 허용됨에 따라 무분별한 인공임신중절의 증가로 인해 1991년 부터 출산율이 급감하여 1995년 합계출산율(TFR)이 0.84로 서독지역(1.52)에 비해 낮아 초저출산 양상을 보였음. □ 통일 후 연방 국회는 1992년 12월 31일 '태아의 보호를 위한 법률'을 가결하여 인공임신중절 권리에 대한 의학적 기준 등의 새로운 규정을 법제화하였음. - 통일 독일은 의회가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새로운 규정을 마련할 때까지 법적공백을 줄이고 구 동・서독 지역에서 초래될 수 있는 법질서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경과규정을 마련하였음. 나. 동서독 통합 여성 및 아동 건강정책 평가 □ 구 동독에서는 근로여성, 모성 및 아동 건강을 국가가 관리하여 사회적 안전망이 구축되어 있었으나 통일 이후 민간 자율화(Privatization) 과정에서 대부분의 서비스 이용이 각 개인이 부담하는 제도로 전환됨에 따라 의료서비스 접근성에서의 형평성은 약화되는 부작용이 확인되었음. - 통일 초기, 동독 지역에는 임산부 보호와 출산휴가(산전 6주 산후 20주)는 그대로 유지되었으나(서독 산전 6주, 산후 8주) 자녀 질병에 따른 유급휴가(최대 13주) 기간 및 수당은 축소되었음. - 동독의 보육시설은 소아과의사와의 네트워크가 구축되어(소아과 의사 1명이 어린이보호시설 2개소 담당) 아동 정기검진 및 예방접종이 국가관리하에 이루어졌으나 통일 후 보육시설 운영시간의 단축과 대부분 개인 비용부담으로 전환되어 모성의 근로활동을 위축시킴으로써 실업률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었고, 이는 곧 저출산의 한 요인이 되었음. - �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60000110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