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역학 기반의 신경발생학적 동물 모델(임신 중 흡연 노출)을 바탕으로 조현병 기전 연구를 통해 원인 인자를 밝혀, 새로운 기전의 항정신병제 개발의 치료 타겟을 제공하고자 함 (1) 기존의 역학연구를 통해 알려진 조현병의 위험인자(임신 중 흡연)를 바탕으로 한 신경발생학적 동물 모델 확립 및 행동 분석 비교 연구 (2) 확립된 모델에서 기존의 조현병과 연관된 메커니즘의 탐색: NRG-ErbB 등의 신호경로 탐색 연구 (3) 기존 약물 및 다양한 약물의 효능을 검증하여 조현병 모델로서의 가능성 확보 연구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기존의 역학연구를 통해 알려진 조현병의 위험인자(임신 중 흡연)를 바탕으로 한 신경발생학적 동물 모델 확립 및 행동 분석 비교 연구 ○ 임신 중 흡연 노출 (Prenatal cigarette smoking exposure, PCSE) 동물 모델 확립 - 단계별 흡연 노출(임신 전부터 흡연, 임신 시점부터 흡연) 모델 확립 및 이에 따른 차이 비교분석 - 약리학적 모델 (MK-801 induced model)과의 이상 행동 비교분석 - 발생학적 모델 (maternal immune activated model)과의 이상 행동 비교분석 ○ PCSE 모델에서 항정신병제의 이상 행동 조절 가능성 확인 - Prepulse inhibition test, social interaction test, open field test (locomotor) (2) 확립된 모델에서 기존의 조현병과 연관된 메커니즘의 탐색: NRG-ErbB 등의 신호경로 탐색 연구 ○ 2가지의 PCSE model 에서 NRG-ErbB신호 경로 확인: ErbB 활성 및 주요 신호 단백질 확인 ○ 2가지의 PCSE model 에서 BDNF-TrkB 신호 경로 연관성 확인: TrkB 활성 및 주요 신호 단백질 확인 ○ 항 정신병제를 투여한 model 군에서 각각의 신호경로 조절 작용 확인 (3) 기존 약물 및 다양한 약물의 효능을 검증하여 조현병 모델로서의 가능성 확보 연구 ○ Maternal immune activation (MIA) 모델과의 비교 연구 - 다른 신경발생학적 모델인 MIA model과 이상행동 및 신호경로 및 관련 단백질 확인 ○ 항 정신병제 (clozapine 등) 효능 검증 - 동물 행동 분석 및 신호경로 및 관련 단백질 확인 ○ 신경발생 관련 질환 효능 약물의 효능 검증 - 동물 행동 분석 및 신호경로 및 관련 단백질 확인을 통한 새로운 약물의 제시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임신 중 환경변화에 대한 연구 - 임신 중 환경적인 영향에 대한 공론화와 국민 건강과 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인 문제(비용 등)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며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됨 ○ 신경정신약물학 분야에서 연구 성과물의 자료화: 기존 약물의 새로운 적응 증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임 ○ 정신질환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신경발생과정에서의 영향을 통한 정신질환 연구이므로, 다양한 정신질환에도 응용 가능함 ○ 정신질환 기초연구 측면 - 해당 과제는 수년 동안 본 연구책임자가 쌓은 연구 노하우와 예비 결과들을 바탕으로 시작되는 것이지만 다양하고 신뢰도가 높은 여러 실험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충분한 연구 지원과 기간이 필요하다고 생각되고 본 연구과제 수행은 정신질환 연구의 기초를 다지는 의미에서 중요함. 또한, 결과 일부는 조현병의 후보유전자로서, 항 정신병제의 효능에 대한 약물유전체 연구에도 기초자료로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